![]() |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로고/사진=2030 부산세계박람회 홈페이지 |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대한민국 정부와 국내 기업들이 ‘2030 부산엑스포’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나 윤석열 대통령과 정재계 인사들, 국내 기업 총수들이 발 벗고 나서 해외 순방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글로벌 오피니언들을 만나 부산을 알리고 엑스포 유치 지원 요청을 하는 등 부산엑스포 유치에 대한 단결한 의지를 전하고 있다.
지난 18일 윤석열 대통령 부부와 국내 기업 총수들이 스위스 다보스 아메론 호텔에서 열린 ‘한국의 밤’ 행사에 참석해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선전에 힘을 쏟았다.
윤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한국은 2030 엑스포를 유치해 그 책임과 역할을 다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며 “한국은 역동성과 개방성으로 글로벌 기업과 스타트업이 공존하는 경제 강국이자 반도체, 배터리, 미래차, 청정에너지 등 혁신기술을 선도하는 최첨단 산업 강국”임을 강조했다.
또한 “K-POP, 영화, 드라마, 웹툰 등도 세계인에게 영감을 주고 있는 창의적 문화강국이기도 하다”며 부산엑스포 지지를 당부했다.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한국의 밤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아 행사를 이끌었으며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박진 외교부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영 중소벤터기업부 장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권영세 통일부 장관, 박형준 부산광역시 시장 등 국내외 정·재계 인사 500여 명이 자리했다.
또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사장, 손경식 CJ 회장,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등 기업인들도 대거 참석했다. 한화는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부사장,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전무 등 3형제가 모두 모여 부산엑스포 유치 지원에 가세했다.
다보스 포럼 외에도 기업들이 자체적으로도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국내외를 막론하고 유치 선전을 하고 있다.
먼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지난해 영국과 멕시코, 파나마뿐만 아니라 더 많은 국가를 방문해 각국의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부산엑스포 유치와 관련한 지지를 요청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말 파리에 위치한 오페라 극장 ‘오페라 가르니에’에 대형 옥외광고 진행했고, 이번에 진행된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도 ‘2030 부산세계박람회’를 응원 메시지를 담은 대형 디지털 옥외광고를 선보였다.
LG전자 조주완 사장은 대한민국 외교부 특사 자격으로 지난해 11월 탄자니아·코트디부아르·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3개국을 방문했다.
조 사장은 아프리카 3개국을 방문해 각국의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부산이 엑스포 개최지에 최적의 도시임을 강조하는 등 유치 지원에 사력을 다했다. 그러면서 LG전자는 아프리카 6개국(르완다·수단·앙골라·에티오피아·케냐·탄자니아) 주한대사 등 외교 관계자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 초청해 부산엑스포 지지를 당부했다.
이 밖에도 부산 김해국제공항 입구 전광판, 김포국제공항 청사 내 전광판, 공항철도 차량 내 모니터, 전국 LG베스트샵 약 300개 매장 등에서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영상을 상영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와 영국 런던 피카딜리광장에 있는 전광판을 통해 부산엑스포 유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이 있는 SK그룹도 부산엑스포 유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최 회장은 수리남, 프랑스, 아프리카 등 각국의 정재계 인사들을 만나 부산엑스포의 경쟁력을 알리며 유치 지원 공세를 펼쳤다.
이렇게 대한민국이 만전을 기하고 있는 ‘2030 엑스포’의 개최지 선정은 올해 하반기 총회에서 결정되는데 현재까지 후보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와 이탈리아 로마가 올라와 있다.
올해 4월에 이뤄지는 현지 실사로 BIE 회원국 중에서 후보지를 어느곳도 지지하지 않은 국가 대표 8~9명이 후보지를 방문해 엑스포 개최에 부합하는지 눈으로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에 앞서 대한민국은 아프리카 45개국과 태평양 도서국가 15개국 등 아직지지 의사를 밝히지 않은 회원국을 겨냥한 맞춤형 교섭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