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가 선방했다는 평가
![]() |
▲미국 뉴욕증시는 28일(현지시간) 스테그플레이션 우려를 반영해 하락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를 보이다, 장 후반 매물이 급증하며 0.5% 이상 하락세를 나타내며 장을 마쳤다. 아무래도 실적에 대한 불안감과 연준이 내놓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아울러 이날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보인 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4.95포인트(0.58%) 하락한 42,098.70을 나타내며 장을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32.99포인트(0.56%) 하락한 5,888.55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98.23포인트(0.51%) 하락한 19,100.94를 가리키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26.67포인트(0.55%) 내린 4,834.42를 기록하며 장을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0.1% 상승한 것을 비롯해 메타 0.2%, 브로드컴 1.6%, 팔란티어 0.3%, ARM이 1.1% 상승하며 장을 마쳤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0.7%, 엔비디아 0.5%, 아마존닷컴 0.6%, 테슬라 1.6%, 구글의 알파벳 0.3%, 넷플릭스 0.2%, AMD가 1.4%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5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47%포인트(4.7bp) 상승한 4.481%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43%포인트(4.3bp) 오른 3.992%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2시 55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7포인트(0.49%) 하락한 42,136을 나타내고 있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21포인트(0.36%) 하락한 5,899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9포인트(0.16%) 하락한 19,169를 가리키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1포인트(0.23%) 오른 4,872를 기록하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시장의 주요 관심사는 엔비디아의 1분기 실적이었다. 엔비디아의 실적은 이날 장 마감 후 공개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경계심 속에 매도 우위로 대응했다. 장 마감 후 공개된 엔비디아의 1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치를 적절히 웃돌았다.
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96달러, 매출은 441억달러를 기록했다. 모두 시장 예상치를 소폭 웃돈 수치다. 이 같은 소식에 엔비디아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 안팎으로 튀어 올랐다. 예상치를 크게 웃돌지는 못했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對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가 선방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장 중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설계 회사들을 상대로 중국에 제품을 팔지 못하게 행정명령을 내렸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다. 주요 반도체 관련주가 이 소식으로 급락하지는 않았으나 투자심리를 억제하는 재료인 것은 분명했다.
UB뱅크의 톰 하인린 선임 투자 전략가는 "경제가 경기 침체에 빠지지 않고 기업이익이 흑자를 유지하는 데 가장 큰 원동력은 소비자 지출과 기업 투자"라며 "엔비디아 실적은 기업이 투자를 가속화했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라고 평가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공개한 5월 FOMC 의사록도 낙관론을 지지하는 재료는 되지 못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FOMC 위원들은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에 대해 기존보다 더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연준 실무진은 경기침체에 무게를 두는 듯한 경제전망을 제출한 점도 확인됐다.
위원들은 "성장과 고용에 대한 전망이 약화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더 지속적인 것으로 판명된다면 위원회는 어려운 상충관계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준 실무진은 "실물 활동에 대한 위험은 하방 쪽으로 기울어졌다"고 판단하며 "경기침체에 들어설 가능성이 거의 기본 전망만큼이나 크다"고 평가했다.
미국 의류업체 애버크롬비앤피치는 예상을 웃돈 1분기 호실적에 주가가 14% 급등했다. 개장 전 거래에선 27%까지 상승폭을 확대하기도 했다. 미국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는 올해 조정 EPS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가운데 약보합을 기록했다.
한편 트럼프는 이날 집무실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른바 '타코(TACO) 트레이딩'이란 표현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TACO는 '트럼프는 항상 겁을 먹고 물러선다(Trump Always Chickens Out)'의 준말이다. 파이낸셜타임스(TF) 칼럼니스트가 만든 풍자적 단어다. 트럼프는 '월가에서 회자되는 타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그건 불쾌한 질문"이라며 "그것은 협상이라고 부른다"고 강조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7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75.6%로 반영됐다. 전날 마감 무렵과 비슷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