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미국증시, PPI 하락에 다우-S&P 상승 나스닥-반도체는 숨고르기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5-05-16 03:40:30
엔비디아가 0.2%, 애플 0.7%, 아마존닷컴 2.4%, 메타 1.0%, 테슬라 1.5%,
구글의 알파벳 1.2%, 팔란티어 1.4%, AMD 2.1%, ARM이 0.6% 하락
마이크로소프트는 0.2%, 브로드컴 0.3%, 넷플릭스가 2.3% 상승
▲미국 뉴욕증시는 15일(현지시간) 숨고르기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다우지수가 상승한 반면 나스닥지수는 하락하고 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지난 2일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상승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와 반도체지수는 숨고르기 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양상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와 중국 간 '관세 유예' 합의에 따른 랠리 이후 기술주에서 차익 실현 매물이 증가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1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2시 55분 기준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0포인트(0.57%) 상승한 42,292에 거래되고 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8포인트(0.32%) 오른 5,911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54포인트(0.28%) 하락한 19,092를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39포인트(0.79%) 하락한 4,921을 가리키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0.2%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애플 0.7%, 아마존닷컴 2.4%, 메타 1.0%, 테슬라 1.5%, 구글의 알파벳 1.2%, 팔란티어 1.4%, AMD 2.1%, ARM이 0.6% 하락하고 있다. 이에 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0.2%, 브로드컴 0.3%, 넷플릭스가 2.3% 상승하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큰 폭 하락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2시 3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75%포인트(7.5bp) 하락한 4.453%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82%포인트(8.2bp) 내린 3.971%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9시 39분 기준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0.97포인트(0.48%) 하락한 41,850.09에 거래되고 있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18.56포인트(0.31%) 내린 5,874.02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16.24포인트(0.61%) 하락한 19,030.56을 나타내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경제 지표는 혼재된 흐름을 보였다. 미 상무부는 지난 4월 소매 판매가 전월 대비 0.1% 증가한 7241억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를 소폭 상회했다고 전했다. 반면 미 노동부는 지난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5% 하락해 5년 만에 최저 수준을 보이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관세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미 노동부는 지난주(5월 4일~5월 10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한 주 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우려가 점차 완화되고 주식시장이 견고한 모습을 보이면서 '신중한 낙관론'이 확산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칼라모 인베스트먼트의 조 쿠식 수석 부사장은 "시장은 점진적이고 절제된 낙관론으로 전환됐지만, 여전히 여러 거시·미시적 리스크가 존재한다"며 "투자자들이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번 랠리가 여름철까지 유지될지, 아니면 조정 국면으로 전환될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월마트는 예상보다 좋은 1분기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경영진이 높은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을 경고하면서 주가가 1% 가까이 하락했다.

 

풋락커 주가는 딕스 스포팅 굿즈가 24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85% 급등하고 있다. 이번 인수 가격은 풋락커 주가 대비 약 86% 프리미엄이 반영된 수준으로, 풋락커 주주들에게 큰 수익 기대감을 안겨주고 있다. 반면 인수자인 딕스 스포팅 굿즈 주가는 인수 부담과 통합 리스크 우려로 15% 하락하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