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I는 전장보다 2.12달러(3.06%) 급등한 배럴당 71.48달러에 마감
![]() |
▲미국 뉴욕에서 31일(현지시간) 국제 유가가 오랜만에 급등세를 나타냈다. 사진은 미국 캘리포니아 LA에 있는 원유 펌프잭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31일(현지시간)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동반 강세를 보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 이란에 대해서
2차 관세로 제재하겠다는 발표를 한 바 있어 유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먼저 뉴욕 유가는 급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뉴욕증시에서 위험 선호 심리가 살아나면서 유가도 탄력을 받았다. 트럼프가 러시아를 겨냥해 25%의 관세 부과를 위협한 점도 유가에 지지력을 제공했다. 3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2.12달러(3.06%) 급등한 배럴당 71.4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이날 5월 인도분 가격이 전장보다 1.11달러(1.51%) 뛴 배럴당 74.74달러에 마무리됐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유가의 강세는 상호 관세가 일부 윤곽을 드러내면서 위험 선호 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뉴욕증시에서 주요 주가지수는 개장 전 급락세로 출발했으나 장중 저가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약보합으로 낙폭을 줄이거나 강세로 전환했다.
트럼프는 오는 4월 2일 상호 관세를 발표한다. 백악관은 트럼프의 상호 관세 발표에는 국가별(country-based) 관세가 포함될 예정이며 분야별 관세는 이번 발표의 초점이 아니라고 밝혔다.
트럼프가 러시아를 겨냥해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에 협력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국가에 25~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한 점도 공급 압박 우려를 자극하며 유가를 밀어 올렸다.
트럼프는 지난 주말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휴전 협상 결렬이) 러시아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면 난 러시아에서 나오는 모든 원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2차 관세는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국가에도 이른바 '세컨더리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다. 트럼프는 "그것은 당신이 러시아에서 원유를 구매한다면 미국에서 사업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며 "모든 원유에 25~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UBS의 조반니 스타우노보 분석가는 "(트럼프의) 러시아와 이란의 원유에 대한 2차 관세 위협은 원유 시장 참가자들이 주시하는 요인"이라며 "당장은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으나 앞으로 공급 위험이 커질 수는 있다"고 지적했다.
노무라증권의 유키 타카시마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 관세가 석유 공급과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의 공급 상황을 평가하는 가운데 WTI는 당장 65~75달러 범위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한국시간 4월 1일 오전 4시 50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70달러(1.72%) 상승한 4.135달러를 가리키고 있다. 앞서 29일 오전 5시 30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70달러(4.33%) 상승한 4.095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지난 28일 오전 4시 52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45달러(1.16%) 상승한 3.917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27일 오전 5시 10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6달러(0.41%) 내린 3.861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앞서 26일 오전 4시 55분 현재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74달러(1.87%) 하락한 3.880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지난 25일 오전 4시 43분에는 미국 뉴욕에서 5월물 천연가스 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70달러(1.74%) 하락한 3.954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