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을 쓰고 싶은 마음'이글쓰기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 차라리 이 둘은 별개다. 내가매일마다 하는 경험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은 이러이러한글을 쓰고 싶다' 하고 생각하지만 막상 문장 한 줄 쓰지 못하고 보내는 날이 많다. '마음'이 생긴다 하여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야 허다하다. 하지만, 글에서처럼 끈질기게 죄책감으로 남는 일은 드물다.
글을 쓰지 않아 죄책감을 느끼는 이유는 뭘까. 글을 쓰지 않는다고누구 한 명 나무라지 않는데. 글 좀 안 쓴다고 내 인생이 지금보다 더 못해질 것도 없는데. 글을 쓸 시간에 스트레칭이라도 하면 몸은 더 가뿐해질 텐데. 이놈의죄책감이 다른 일에서의 열정도 빼앗는다.
곰곰이 생각해 봐도 잘 모르겠다. 고개를 내민 죄책감에 이유를 묻는다고답을 내어주지 않는다. 한번 때려 맞춰 본다. 혹, 글은 존재와 관련 있는 건 아닐까. 글을 통해서만 내 존재는 잠시바깥 구경을 나오는 건 아닐까. 작고 편협한 몸뚱이 안에 갇혀 내내 답답했던 존재에게 글은 '열린 문' 아니었을까. 그런데그 몸뚱이의 주인인 내가 게으른 태도로 문을 꼭 닫아 걸고 있으니 죄책감을 벌로 내린 건 아닐까.
여기까지만 생각해 보련다. 아직 내게 존재라는 단어는 너무 크다. 그 보다는 우울, 고민, 슬픔, 기쁨 같은 단어가 더 가깝다. 글을 쓰지 않는 날은 우울하다. 어떻게 하면 글을 쓸 수 있을까 고민이 된다. 고민이 해결되지 않아슬프다. 그러다 어쩌다 한 번 글을 쓰게 되면 기쁘기 한량없다.
그렇다면 기쁘기 한량없는 일을 나는 왜 자꾸 미루는 것일까. [최고의나를 꺼내라]에서 스티븐 프레스필드는 이렇게 말한다."글 쓰는 것 자체가 힘든 것이 아니라, 진짜 힘든 것은 글을 쓰기 위해 자리에앉아 있는 것이다." 책에서는 이 이유를 내적 저항에서 찾는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누구나 - 글을 못 쓰는 사람이나 글을 잘 쓰는사람이나, 글을 이제 막 쓰기 시작한 사람이나 삼십 년 넘게 글을 쓴 사람이나 - 내적 저항에 시달린다는 것이다.
내적 저항은 다양한 핑계를 생각해 낸다. 글을 쓰지 않을 핑계를 만들기는얼마나 쉬운지. 갑자기 장을 보러 가고 싶고, 청소가 하고싶고,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친구와 약속을 잡아야 할 것 같고, 오늘따라인생에 대해 생각하고 싶고, 피곤하고, 졸리고, 바쁘다. 결국, 글은이 모든 핑계를 이겨내고 자리에 앉아 '글을 쓰고 싶은 마음'을배반하지 않은 사람만이 쓸 수 있다. 은유의 [쓰기의말들]은 글쓰기의 내적 저항에 시달리는 우리들을 위한 책이다.
"안 쓰는 사람이 쓰는 사람이 되는 기적을 위하여"를 부제로 삼은 이 책에서는 문장들이 향연을 펼친다. 스스로를문장 수집가로 자처한 작가 은유는 본인을 글쓰기로 이끌었던 매혹적인 문장들을 낚시찌로 이용한다. 찌에단단히 걸린 우리는 뭍으로 내동댕이 쳐지는 대신 의자에 앉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 글을 쓰고 싶어진다. 이런 문장들이 나오기 때문이다.
"우리가 힘을 얻는 곳은 언제나 글 쓰는 행위 자체에 있다." - 나탈리 골드버그
"매일 작업하지 않고 피아노나 노래를 배울 수 있습니까. 어쩌다 한 번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결코 없습니다." - 레프톨스토이
"당신의 직업은 무엇입니까?나는 씁니다." - 롤랑 바르트
"'쓰다'라는동사는 작가들이 따라야 할 궁극적인 도다." - 장석주
책에는 104개의 문장이 나온다. 이문장들과 짝을 이뤄 저자의 글이 있다. 모든 글이 글쓰기와 관련 있다.자유 기고가로 시작해 글쓰기 강사로 일을 하다가 글쓰기 책을 낸 저자의 글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저자 은유의 글은 간결하고 탄력적이었다. A4용지 1페이지가 채 안 되는 글 속에 매번 단단한 이야기를 풀었다.
삶을 대하는 저자의 태도도 좋았다. 저자는 우리의 보잘것없는 삶이남에 의해 얼마나 쉽게 부서질 수 있는지, 또 남에 의해 얼마나 쉽게 힘을 얻을 수 있는지 아는 것같았다. 글 앞에서 삶을 고민하는 사람인 게 분명했다. 저자는말한다.
"읽고 쓰며 묻는다. 몸으로실감한 진실한 표현인지, 설익은 개념으로 세상만사 재단하고 있지는 않은지. 남의 삶을 도구처럼 동원하고 있지는 않은지. 앎으로 삶에 덤비지않도록, 글이 삶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심한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