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큰 글씨·친환경용지 사용한 ‘친절한 수도요금 청구서’ 발행

사회 / 한시은 기자 / 2025-07-03 11:02:47
납부 금액·기간, 고객번호 등 꼭 필요한 정보 크게 표기…‘3단구성’으로 가독성 높여
청구서 크기 줄이고 친환경 재생 용지 도입…연간 8000만원 비용 절감 효과
OCR 밴드는 전자 납부 방식으로 전환…종이 낭비 줄이고 이중 납부 원천 차단

[소셜밸류=한시은 기자] 이달부터 발행하는 수도 요금 종이 청구서가 작아지고 보기도 편하게 바뀐다. 납부금액, 납부기한, 고객번호 등 꼭 필요한 정보는 큼직하게 표기하고 수용가(전기·전자 소비자)처럼 어려운 말은 수도사용자처럼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변경한다.


서울시는 이달 말부터 시민들에게 발송하는 수도 요금 종이청구서 디자인과 크기를 개선한다고 3일 밝혔다. 중복된 정보와 복잡한 구성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수십년간 사용돼온 용어 등으로 핵심 정보 파악이 쉽지 않았던 단점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개편된 3단 수도요금 청구서(왼쪽)과 기존 4단 수도요금 청구서/사진=서울시

 

주요 개편 내용은 글자크기 확대, 용어 변경, 중복 정보 삭제, 청구서 규격 축소, 친환경 재생용지 사용, OCR 밴드 폐지 등이다.

우선 청구서상 납부 금액, 납부기한, 고객번호 등 핵심 정보를 기존보다 크게 표시해 시민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수용가번호’는 ‘점검번호’로, ‘수용가’는 ‘수도사용자’로 바꿔 시민 이해를 높이고 중복 정보나 사용률이 낮은 수치 등은 과감하게 정리했다.

청구서의 규격도 줄였다. 기존 4단(21×35.5㎝) 사이즈 청구서를 3단(21×28㎝)으로 축소해 인쇄와 발송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친환경 재생용지를 전면 도입해 환경보호에도 힘을 더한다. 시에 따르면, 청구서 규격 축소로 연간 약 5800만원, 재생용지 전환으로 약 2200만원의 비용이 절감된다. 특히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연간 14.3톤 줄어드는 등 환경적 효과도 예상된다.

납부 방식 안내도 새롭게 바뀐다. 시는 기존 OCR(광학 문자인식) 밴드 활용 방식을 전자 납부 방식으로 전면 전환해 시민 편의를 높인다. 청구서 하단에 인쇄되는 OCR밴드는 요금 납부시 기계가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 이용률이 3.7%에 불과하다.

기존 OCR 방식을 이용하던 시민도 고객전용 입금계좌, QR코드, 전자납부번호 등을 통해 계속 납부할 수 있다.

이회승 서울아리수본부장은 “수도요금 청구서 개편은 시민 편의와 환경보호 두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서비스 개선”이라며 “앞으로도 시민 여러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더욱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