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나락으로 내모는 건설현장, GS건설서 또 비극

사회 / 최연돈 기자 / 2025-09-04 10:13:10
“안전은 뒷전, 죽음은 반복”…건설업계 전반에 뿌리 깊은 안전 불감증
▲GS건설 성동구 아파트 공사장 사망사고 현장/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3일 오전 10시 서울 성동구 용답동 GS건설 아파트 공사장에서 50대 노동자가 15층에서 추락해 숨졌다. 외벽 거푸집 설치 작업 중 벌어진 참사였다.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옮겨졌지만 끝내 목숨을 잃었다. 또 한 번 건설 현장이 노동자의 무덤이 된 것이다.

 

문제는 이 비극이 결코 어제오늘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불과 하루 전에는 서초구 방배동 빌라 공사장에서 60대 작업자가 추락사했고, 지난달에도 의정부·송도 등 전국 각지의 현장에서 노동자들이 연이어 목숨을 잃었다. 고용노동부 집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건설업 산재 사망자는 138명에 달한다. “안전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정부와 업계의 외침이 공허한 이유다.

 

이재명 대통령이 건설사들의 반복되는 인명사고를 두고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 직격했고,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산재 사망률 OECD 평균 수준 감축에 직을 걸겠다고 했지만, 현장은 변하지 않고 있다. 규제와 점검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건설사 스스로의 ‘안전 의지’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비용 절감과 공기 단축이 안전보다 앞선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GS건설은 “모든 공정을 중단하고 특별 안전 점검을 시행하겠다”며 사과문을 냈다. 하지만 이는 반복된 사고 뒤에 늘 등장하는 면피성 해명일 뿐이다. 진정한 반성과 제도적 혁신이 없다면 또 다른 현장에서 같은 비극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건설업은 대한민국 경제의 한 축을 떠받치지만, 그 그림자에는 매년 수백 명의 노동자들이 산업재해로 희생되는 참담한 현실이 자리하고 있다. “죽지 않고 일할 권리”는 헌법이 보장하는 최소한의 권리다. GS건설을 비롯한 대형 건설사들은 더 이상 안전을 비용으로 취급하는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노동자의 죽음 위에 세운 아파트는 결코 ‘명품 단지’가 될 수 없다.

 

고용노동부의 2025년 2분기 산업재해 현황 부가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건설업 산재 사망자는 총 138명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