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신원 SK네트웍스 전 회장/사진=SK네트웍스 제공 |
최 전 회장은 SK네트웍스, SK텔레시스 등 계열사 6곳에서 2,235억 원에 달하는 자금을 불법으로 빼돌리고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를 받고 있다. 1심에서 징역 3년, 항소심에서 징역 2년 6개월 실형을 선고받아 법정구속됐으며, 오는 5월 15일 대법원 최종 판결을 앞두고 있다.
◇ SK가 키운 내부 부패…'윤리경영'은 구호에 그쳤다
이번 사건의 본질은 단순한 개인 일탈이 아니다. 최 전 회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사촌형으로, 오랜 기간 SK네트웍스를 포함한 주요 계열사 경영을 맡아 온 인물이다. SK그룹 내부에서는 사실상 '오너 일가' 대우를 받아왔으며, 그룹 지배구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런 그가 수년간 천문학적 자금을 횡령하고도 내부 감시망에 걸리지 않았다. 이는 SK그룹이 내세운 '윤리경영' '지배구조 투명화'가 사실상 구호에 그쳤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SK는 수년간 "사회적 가치", "윤리적 리더십"을 외쳐왔지만, 정작 오너 일가 관리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다.
SK 최태원 회장의 윤리경영 구상이 '현실 관리'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치명적 약점을 드러낸 셈이다.
◇ 횡령의 원인은 무엇인가?
최 전 회장의 횡령은 주로 가족 명의 유령회사 설립, 회사 돈을 빼돌려 개인 용도 사용, 법인카드·법인자금 유용등 고전적 수법으로 이뤄졌다. 즉, 내부통제 부재와 오너 일가에 대한 묵인 문화가 이 같은 초대형 금융 비리를 가능하게 만든 셈이다.
검찰 수사에 따르면 최 전 회장은 회삿돈을 부당하게 인출해 개인 부채를 갚거나, 별장 관리, 사적 지출에 사용했다. 일부 자금은 별도의 관리 장부도 없이 비자금으로 조성됐다. 이는 명백한 '고의적 범죄'이자, SK그룹의 '시스템적 무능'을 드러낸 것이다.
◇ 이번 사태는 앞으로도 반복될 수 있다
문제는 이번 사건이 SK그룹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오너 일가에 대한 견제 장치 부재, 계열사 내부통제 시스템 취약, 윤리경영 감시 기능 무력화, 이 3대 구조적 결함이 그대로 노출됐다.
현재 SK는 최 전 회장의 사후 처리에만 집중하는 모양새지만, 본질은 '구조 자체'에 있다. 특정 인물 하나를 희생양 삼는다고 해서 SK그룹 내부의 도덕적 해이는 치유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번 최신원 사태는 언제든 '제2, 제3의 내부 부패'로 재현될 수 있으며, SK그룹 전체 신뢰도에 장기적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 SK그룹에 미치는 영향
무엇보다 SK그룹에 대한 시장 신뢰도 하락하고 있다. 이미 기관투자자들 사이에서는 "SK의 내부통제 수준이 대기업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룹 지배구조 개편 추진에도 '윤리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타격이 불가피하다.
앞서 SK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앞세워 글로벌 투자자 신뢰를 쌓아왔지만, 이번 사건은 지배구조(G) 항목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최태원 회장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직을 맡아 경제계를 대표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친인척 비리 문제가 반복되면서 SK그룹 전체가 '윤리 부실 기업'이라는 오명을 쓸 위험이 커졌다.
최신원 전 회장의 2,235억 원 횡령은 단순한 비리가 아니라 SK그룹 구조의 실패다. '사회적 가치', '윤리경영'을 진정으로 실천하고자 한다면,오너 일가에 대한 특별대우 철폐, 감사기구의 실질적 독립성 보장, 이사회 투명성 강화 등을 실질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