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자율주행·디지털 트윈 핵심 인프라 제시
서비스형 센싱으로 新수익 모델 창출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LG유플러스가 6G 시대를 이끌 차세대 핵심 기술로 ‘통신·센싱 융합(ISAC)’을 제시하며 미래 인프라 전략을 공개했다.
![]() |
| ▲6G 백서 표지를 모델이 선보이고 있는 모습을 AI로 생성한 이미지/사진=LG유플러스 제공 |
LG유플러스는 17일 ‘2025년 6G 백서’를 발간하고 ISAC 기술의 구조와 활용, 기술적 기반과 표준화 전략을 종합적으로 담아냈다고 밝혔다. 해당 백서는 2023년 첫 발간 이후 세 번째로, 6G 시대 네트워크가 수행할 역할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그렸다.
ISAC은 기존 통신 인프라를 센서처럼 활용해 스마트폰이나 기기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과 사물까지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도로 위 장애물, 보행자의 움직임, 공장 기계의 미세 진동 등을 통신망을 통해 인식하며, 네트워크 자체가 ‘보고 느끼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세대 인프라의 핵심으로 평가된다.
백서에서는 레이더와 5G 기지국 안테나의 구조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센싱 기능을 통신망에 통합하는 방식과, 단일·이중·다중 위치 센싱 등 다양한 구조를 설명했다. OFDM 기반 센싱 시그널 설계를 통해 통신 품질 저하 없이 센싱 기능을 구현하는 최신 기술 방향도 함께 소개됐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통신·센싱 융합이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XR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연결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Sensing-as-a-Service(서비스형 센싱) 방식은 통신사업자가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는 모델로 주목된다.
백서에는 ISAC 활용 시나리오도 구체적으로 담겼다. 도심 교차로에서 보행자 위치를 10㎝ 이하 정밀도로 감지하는 사례, 스마트팩토리 로봇과 작업자의 실시간 위치 추적을 통한 디지털 트윈 구현 등이 대표적이다. 시나리오별로 위치 정확도, 지연 시간, 데이터 용량 등 필요한 KPI도 세분화해 제시했다.
기술적 기반으로는 물리채널 설계, AI 기반 자원 최적화, 차세대 RF·안테나 기술, 센싱 전용 아키텍처, AI·머신러닝 기반 예측 기술 등이 꼽혔다. 특히 AI 자원 할당과 엣지 컴퓨팅 기반 분산 처리는 ISAC의 효율성과 실시간성을 강화하는 핵심으로 평가된다.
이혜진 LG유플러스 기술전략담당은 “ISAC는 6G 시대의 게임 체인저로, 네트워크가 세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발전하는 기반 기술”이라며 “LG유플러스는 기술 개발과 글로벌 표준화 활동으로 6G 생태계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