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폐점 통보 ‘뒤통수 맞은 입점주들 생계 위기’[기획 1부]

유통·생활경제 / 최성호 기자 / 2025-05-26 09:13:23
▲4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이 연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단식 선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108배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최성호기자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홈플러스가 무더기 임차 계약 해지에 나서며 점포 내 입점 소상공인들의 생존권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사전 공지조차 없는 ‘기습 통보’에 점주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으며, 일부는 언론 보도를 통해 자신의 매장이 폐점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벌어졌다.


이번에 계약 해지 통보를 받은 점포는 가양, 일산, 시흥, 잠실 등 전국 17곳에 달한다. 점포마다 10~30여개 입점 매장이 영업 중이며, 전체 매장은 300곳 안팎으로 추산된다. 

 

이 중 절반은 브랜드 본사 직영이지만, 나머지는 순수 자영업자다. 즉, 하루아침에 수백 명의 생계가 붕괴될 위기에 놓인 것이다.

문제는 입점주들이 법적으로도 보호받기 어렵다는 데 있다. 홈플러스와 같은 대형마트 내부는 ‘특수상권’으로 분류돼 임대차보호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로 인해 계약 갱신청구권도 없고, 권리금조차 인정받기 힘든 상황이다. 폐점이 확정되면 6개월 내에 무조건 퇴거해야 한다.

과거 부천상동점, 서울동대문점처럼 회생절차 개시 전 폐점이 확정된 사례에서는 인테리어 비용 일부와 위로금이 지급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17개 점포는 기업회생절차 개시 이후 진행된 계약 해지인 만큼, 최소한의 보상조차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홈플러스는 폐점 시 직원들에 대한 고용안정 대책은 발표했지만, 정작 입점 소상공인에 대한 보상 대책은 일언반구도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점주들은 “우리도 직원이며, 가게가 곧 생계인데 어째서 우리는 외면하느냐”고 분노를 표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건 홈플러스의 소통 부재다. 일부 점주는 폐점 사실을 홈플러스가 아닌 뉴스 기사로 접했다. 

 

설명회도 공지도 없이 언론 보도를 통해 자신의 매장이 폐점 명단에 올랐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 이는 점주들의 신뢰를 바닥까지 떨어뜨리는 처사였다.

입점주 A씨는 “본사에 묻기 전까진 아무런 설명도 없었다. 뒤늦게 전화를 돌려 상황을 파악하고 있지만, 벌어진 일 앞에서 도대체 뭘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울분을 토했다.

홈플러스는 뒤늦게 “임차료 협상이 진행 중인 점포들에 대해서는 아직 폐점이 확정된 것이 아니며, 동요하지 말라”고 당부하고 있으나, 점주들은 이를 '시간 끌기'로 보고 있다. 

 

이미 수익성 저하 점포를 내부적으로 정리 대상으로 삼았다는 ‘살생부’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일산점 식음료 매장 점주는 “회생절차 개시에 이어 폐점 통보까지, 두 차례나 본사로부터 뒤통수를 맞았다”며 “홈플러스는 점주들을 협력 파트너가 아닌, 제거 대상으로 여기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폐점 통보는 곧 상권의 몰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회생절차가 시작된 뒤, 매장 방문객 수는 눈에 띄게 줄었고, 점주들은 생계 불안을 호소한다. 

 

인천논현점에서 음료 매장을 운영 중인 B씨는 “매출이 30% 가까이 빠졌다. 오픈한 지 8개월밖에 안 됐는데 폐점 걱정을 해야 하니 앞이 캄캄하다”고 토로했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은 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절차이자 구조조정의 일환일 수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수백 명의 생계를 짓밟고 무대책으로 일관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폭력이다. 

 

‘조정 실패’라는 명분 뒤에 숨은 홈플러스의 무책임한 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