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지분 94%에 상장 철회 서울보증보험…고평가-경영 공백 논란 이중고

금융·증권 / 황동현 기자 / 2023-10-24 11:28:01
임기 40일 남은 유광열 사장 후임 인선 오리무중
3조7000억원대 시총 및 공모가 적정성 논란...상장 철회
경영공백 장기화 우려...국가경제 전반 악영향

[소셜밸류=황동현 기자] 상장(IPO) 흥행에 실패한 국내 최대 종합보증사 서울보증보험이 경영공백 우려에 따른 내홍에도 시달리고 있어 비상이 걸렸다. 임기가 40일 남은 유광열 사장 후임 인선이 오리무중인 가운데 임원후보추천위원회도 꾸리지 않은 상태다. 통상 공공기관과 금융기관의 임추위는 공개 모집부터 최종 선임까지 2개월여 소요된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전날 서울보증보험 상장 추진 관련 최종 의사결정 회의에서 상장 을 전격 철회(연기)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서울보증보험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와 주무기관인 금융위원회, 주관사 등의 의견을 파악해 최종 결정했다.

 

▲서울보증보험 본/사진=서울보증보험


다음 달 3일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목표로 19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 예측을 진행했지만 부진한 성적이 원인이 됐다. 100% 구주매출로 공모가 이뤄진다는 점과 오버행(대규모 매각 대기 물량) 이슈, 고공 행진중인 금리 등이 영향을 끼쳤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로써 오는 25~26일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청약 일정은 무산됐다. 대표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이다. 거래 증권사로 부터 이날 오전 부터 공모주 청약일정 안내를 받은 투자자들은 오후에 공모주 청약 철회를 안내하는 문자를 받자 혼란스러워 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시장금리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고배당 매력이 떨어진 점도 기관의 참여가 저조했던 이유로 꼽힌다. 서울보증보험이 배당성향 50%를 앞세워 고배당 매력을 강조했지만, 국내외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고배당주에 대한 매력이 한풀 꺾였기 때문이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지난주 약 16년 3개월 만에 5%를 돌파했다. 서울보증보험은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희망 공모가 하단에서도 필요한 모집금액을 모으지 못했다.

대다수 참여 기관이 공모가 희망 범위(3만9500~5만1800원) 하단 이하에 주문을 넣은 결과다.서울보증보험은 예상 공모액 2757억~3616억원, 상장 후 시가총액 2조7579억~3조6167억원인 올해 IPO 최대어 후보였다. 13년 만의 공기업 IPO로도 주목받았다.

예금보험공사는 서울보증보험의 지분 93.85%(주식 수 6552만8906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이 중 지분 10%(698만2160주)를 IPO 과정에서 구주 매출한다. 의무보호예수(6개월) 기간이 지난 뒤 2~3년간 최대 지분 33.85%를 추가로 매각하고 잔여 지분도 중장기적으로 처분해 공적자금을 회수할 계획이었다.

예금보험공사는 서울보증보험에 투입한 10조2500억원의 공적자금 중 절반 수준인 5조9017억원을 아직 회수하지 못한 상태다. 공적자금 관련 기금의 청산 시점은 오는 2027년이다.
 

서울보증보험 관계자는 "IR 과정에서 밝혔던 미래성장 전략의 지속적인 추진을 통해 손익 경영을 강화할 예정이며 향후 기업가치를 재평가 받겠다"라고 밝혔다.

 

 

상장(IPO) 흥행에 실패한 서울보증보험은 경영공백 우려에 따른 내홍에도 시달리고 있어 경영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서울보증보험지부는 지난 18일 기자회견을 열고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즉시 구성하여 사장선임 절차를 즉각 개시하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서울보증보험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충분한 전문성과 경영능력 그리고 경청과 소통의 리더십을 갖춘 인사가 사장으로 선임될 수 있도록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진행하라고 요구했다.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함 서울보증보험지부는 지난 18일 서울보증보험 사장 선임절차 진행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사장 선임절차를 즉각 개시할 것을 요구했다./사진=서울보증보험 지부 제공

 

노조는 “지난 17일 임시이사회에서도 진행된 것이 없다”며 “신임 사장 선임 절차를 조속히 이행해 상장 이후의 안정적 경영을 추진하고, 2027년 예보채 상환을 대비해야 하지만 지연되면 기업공개, 예보채 상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간 금융회사인 서울보증보험은 공기업인 예금보험공사가 93.85%의 지분을 가진 대주주다. 이에 그동안 사장 인선 과정에서 정부의 눈치를 봐왔다.

현재 유광열 사장 역시 전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출신이다. 차기 사장 하마평에 이명순 금감원 수석부원장, 최훈 전 금융위 금융정책국장 및 현 싱가포르대사,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 등이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서울보증보험 관계자는 “후임 대표이사 선임은 차질 없이 진행할 예정이다”라며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노조는 중차대한 시기에 서울보증보험이 석연치 않은 이유로 사장 선임 절차를 지연하게 된다면, 이는 임기 말을 맞은 현 사장의 책임회피를 연장하게 되는 꼴이고, 임원들의 눈치보기와 줄서기로 서울보증보험의 미래를 준비할 소위 ‘골든타임’을 놓치게 되고 말 것이라고 비판했다.

서울보증보험은 주로 서민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각종 이행보증, 신원보증, 휴대전화 할부보증, 전세금 대출보증 등 보증 상품과 재보험·자산운용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민의 혈세인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업으로, 세계 4위의 전업보증사인 서울보증보험의 대표이사를 결정하는 사안이 시기에 맞게 절차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면 기업 경영과 의사결정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는 결국 서민과 중소기업의 부족한 신용을 공급하는 서울보증보험의 역할을 생각할 때 국가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