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담은 트럼프의 관세 폭탄 이후
미국과 중국이 처음으로 갖는 협상 자리
![]() |
▲미국 뉴욕증시는 8일(현지시간) 관세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퍼지며 강한 상승세로 장을 마쳤다.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관세협상의 성과에 힘입어 주요 주가지수들이 장중 동반 급등세를 보였지만, 마감 무렵 차익매물이 대거 쏟아지며 1% 안팎의 상승률로 마감했다. 미국이 영국과 무역협상을 마무리했다는 소식에 다른 국가와의 협상도 순조로울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진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줬지만 이날 국채금리가 큰 폭 상승한 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4.48포인트(0.62%) 오른 41,368.4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66포인트(0.58%) 상승한 5,663.94를,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89.98포인트(1.07%) 오른 17,928.14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44.08포인트(1.00%) 상승한 4,430.44를 나타내며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1.1% 상승한 것을 비롯해 애플 0.6%, 엔비디아 0.2%, 아마존닷컴 1.7%, 메타 0.2%, 구글의 알파벳 1.9%, 브로드컴 1.4%, 테슬라 3.1%, 팔란티어 7.8%, AMD가 1.3% 상승하며 마감했다. 다만 넷플릭스는 0.9%, ARM은 6.1%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큰 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4시 1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117%포인트(11.7bp) 급등한 4.392%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날보다 0.100%(10.0bp) 상승한 3.893%를 가리키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후 1시 4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30포인트(1.29%) 오른 41,644에 거래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3포인트(1.31%) 상승한 5,704를,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309포인트(1.75%) 급등한 18,047을 기록하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86포인트(1.96%) 급등한 4,472를 나타내고 있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국과의 무역 협상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미국은 영국에 부과한 자동차 관세 25%를 철회했다. 연간 10만대에 한해서만 10%의 기본관세를 물릴 예정이다. 대신 미국은 농축산물에 대한 영국 시장 접근성과 함께 미국 상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을 5.1%에서 1.8%로 낮추는 성과를 올렸다.
세부적인 내용은 추후 몇 주에 걸쳐 논의 후 합의될 예정이다. 미국이 영국에 부과한 기본 관세 10%도 큰 틀에서 유지됐다. 하지만 미국과 영국이 큰 틀에서 무역협정을 맺었고 트럼프가 추진하는 관세 협상의 기본 틀이 확인됐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됐다.
중국과 미국 간 회담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트럼프는 "이번 주말 열리는 중국과의 회담은 실질적(substantive)일 것이고 중국은 뭔가 하기를 바라고 있다"며 "회담 후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은 트럼프의 관세 폭탄 이후 미국과 중국이 처음으로 갖는 협상 자리다. 시장은 탐색전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실질적일 것이라는 트럼프의 발언은 기대감을 자극했다.
CFRA의 샘 스토발 최고투자전략가는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7월 9일 전에 (주요국과의) 협상이 타결될 수 있다는 낙관론이 커졌다"며 "다만 협상이 시작되면 단기적으로 행정부가 다른 교역국과 협상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압박을 덜 받게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강세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유일하게 3조달러 이상의 시총을 유지했다. 알파벳은 전날 7% 급락한 뒤 소폭 반등했다. 전날 애플의 서비스 부문 총괄이 결국 구글 같은 검색 엔진은 인공지능(AI)에 대체될 것이라고 토로한 것을 두고 알파벳이 반박 성명을 내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다.
디지털 운동기구 기업 펠로톤은 1분기 실망스러운 실적을 발표한 뒤 주가가 7% 급락했다. 미국 미디어 대기업 워너브라더스디스커버리는 5% 이상 올랐다. 1분기 손실액이 시장 예상치보다 컸음에도 회사가 스트리밍과 케이블 TV를 두 개 법인으로 분할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한편 트럼프는 이날도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공개 저격했다. 트럼프는 "금리 인하는 경제에 마치 '제트 연료'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며 "파월은 그것을 하기를 바라지 않는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아마도 파월은 나를 사랑하지 않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이날 오전에도 파월을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라고 공격했고 오후에도 "벽에 대고 말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미국에서 한 주간 신규로 실업보험을 청구한 건수는 예상치를 밑돌며 둔화했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주 대비 1만3천건 감소한 수치이자 시장 예상치 23만명을 밑도는 수치다.
미국의 도매 재고는 3개월째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도매 재고는 계절적 특성 및 거래일 수 차이를 조정한 결과, 총 9천75억달러로 집계됐다. 2월 수치 대비 0.4% 증가한 것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82.8%로 반영됐다. '6월 동결론'으로 확실히 기울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