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 반도체주 급락에 나스닥-S&P 동반 하락 다우만 소폭 상승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4-11-28 01:44:54
애플이 0.1%, 엔비디아 3.2%, 마이크로소프트 0.7%, 아마존닷컴 0.9%,
메타 1.1%, 테슬라 1.6%, 넷플릭스 0.8%, AMD 3.2%, ARM이 4.3% 하락
다만 구글의 알파벳은 0.1% 상승
▲미국 뉴욕증시는 27일(현지시간) 반도체주들이 급락하며 나스닥과 S&P500지수도 하락하고 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미국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서도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강하게 하방으로 향하고 있다. 이날은 특히 추수감사절 휴장을 하루 앞두고 거래량이 대폭 줄어든 모습이다. 다만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6거래일 연속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개장 초반 한때 사상 처음 4만5천선을 돌파했지만 장 후반 들어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1시 42분 현재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23포인트(0.05%) 오른 44,883을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0포인트(0.34%) 낮은 6,00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68포인트(0.87%) 밀린 19,007을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장보다 134포인트(2.73%) 급락한 4,793을 가리키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이 0.1% 하락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 3.2%, 마이크로소프트 0.7%, 아마존닷컴 0.9%, 메타 1.1%, 테슬라 1.6%, 넷플릭스 0.8%, AMD 3.2%, ARM이 4.3% 하락하고 있다. 다만 구글의 알파벳은 0.1% 상승하고 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으로 전환했다. 현지시간 오전 11시 29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37%포인트(3.7bp) 하락한 4.265%를 기록하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23%포인트(2.3bp) 내린 4.231%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10시 30분 현재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76.29포인트(0.17%) 오른 44,936.60을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77포인트(0.28%) 낮은 6,004.8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54.00포인트(0.80%) 밀린 19,021.58을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12월 FOMC에서 금리를 추가 인하할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잇따라 공개된 주요 경제지표들에 주목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한 주간(17~23일)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직전주 대비 2천 명 감소한 21만3천 명으로 시장예상치(21만6천 명)를 하회했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전기 대비 연율 2.8%로,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았고 시장예상(2.8%)에도 부합했다.

 

10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2%, 전년 동기 대비 2.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성이 높은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는 전월 대비 0.3%, 전년 동기 대비 2.8% 오르며 헤드라인과 근원 PCE 모두 시장 예상과 일치했다. 이들 지표는 대체로 시장에 안도감을 주었다. 특히 근원 PCE는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지표로 알려져 있다. 연준이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참고하는 경제지표다.

 

이날 미국 컴퓨터 제조업체 델 테크놀로지스 주가가 13% 이상 급락해 눈길을 끌었다. 인공지능(AI) 서버 수주 증가에 힘입어 주가 상승세를 누렸던 델은 4분기 매출과 수익이 시장 기대에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아 실망을 안겼다. 개인용 컴퓨터·프린터 제조사 휴렛 팩커드는 시장 예상을 밑돈 실적 여파로 주가가 13% 이상 떨어졌다.

 

사이버 보안 업계 선두 기업 크라우드 스트라이크도 시장 기대 보다 약한 4분기 전망에 주가가 5% 이상 밀렸다. 반면 AI 반도체 전문 기업 암바렐라는 낙관적인 4분기 전망에 힘입어 주가가 7% 이상 뛰었다.

 

전날 대표적 암호화폐 비트코인 가격 하락세로 주가가 뒷걸음질했던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주가는 5%대, 비트코인 최다 보유 기업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는 10%대 각각 올랐다. 패션·인테리어 소품 전문 소매체인 어번 아웃피터스는 시장 예상을 웃돈 실적에 힘입어 주가가 15% 이상 급등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이 엔비디아와 테슬라에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이날 엔비디아는 3%대, 테슬라는 2%대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는 전날,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을 총괄할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로 강경 매파 관세론자인 국제통상 전문 변호사 제이미슨 그리어를 지명했다. 백악관 국제경제위원회(NEC) 위원장에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 경제 고문 등을 역임한 케빈 헤셋이 선임됐다.

 

산탠더 U.S.캐피털 마케츠 수석 경제학자 스티븐 스탠리는 "연준이 12월에 금리를 추가 인하할 것으로 본다"며 "그들은 현재 금리가 중립금리보다 꽤 높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갈 길이 멀다고 느끼기 때문에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싶어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Group)의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12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25bp 추가 인하할 확률은 69.7%, 현 수준(4.50~4.75%)에서 동결할 확률은 30.3%로 반영됐다. 25bp 인하 가능성이 전일 대비 10.3%포인트 높아지고 동결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졌다.

 

뉴욕증시는 하루 뒤인 28일 연방공휴일인 추수감사절을 맞아 휴장하며 29일에는 오후 1시에 조기 폐장한다.

 

국제 유가는 오름세를 나타냈다. 내년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 대비 0.09% 오른 배럴당 68.83달러, 브렌트유 내년 1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08% 높은 배럴당 72.8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