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스크린·빅스비로 ‘AI 가전’ 차별화
[소셜밸류=한시은 기자] “삼성전자는 고객이 인공지능(AI) 업무를 제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이번 비스포크 신제품에 보안 시스템과 스크린, 빅스비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문종승 삼성전자 DA사업부 개발팀장 부사장이 ‘2025년형 비스포크 AI’ 라인업을 공개하며 세 가지 차별점을 강조했다.
삼성전자가 지난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미디어 행사인 ‘웰컴 투 비스포크 AI’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삼성전자 문종승 DA사업부 개발팀장(부사장)과 임성택 한국총괄 등이 참여해 새로운 AI 가전과 서비스를 대거 공개했다.
![]() |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열린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에서 삼성전자가 ‘2025년형 비스포크 AI’ 라인업을 공개했다./사진=한시은 기자 |
문종승 부사장은 “최근 디지털 AI로 기술이 진화하면서 편리함을 제공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가족과 집까지 지켜주는 지능형 AI 홈 기술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혁신을 넘어 기기 간 연결과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를 이해하고 돌보며 문제를 해결하는 AI 홈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개인 정보 유출 걱정 없는 ‘AI 보안 솔루션’ 구축
삼성전자는 이번 제품에 독자적인 보안 솔루션인 ‘녹스’를 탑재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또 기존 프리미엄 라인업인 패밀리 허브에서만 지원했던 ‘녹스 매트릭스’는 와이파이가 탑재된 전 가전기기에 도입한다.
녹스 매트릭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기술로, 연결된 기기들이 보안 상태를 상호 점검해 민감 정보가 새어 나가는 일을 방지한다. 외부 위협이 감지되면 해당 기기의 연결을 끊고 바로 조치할 수 있다.
특히 올해 출시하는 스크린 가전과 로봇 청소기에는 ‘녹스 볼트’가 최초 적용됐다. 비밀번호와 인증 정보, 암호·키 등 중요한 개인정보를 하드웨어 보안 칩에 별도로 보관해 물리적으로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양자컴퓨팅의 공격에 대비한 ‘양자 내성 암호’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글로벌 인증 기업 UL 솔루션즈의 IoT 보안 평가에서 업계 최초, 최다 다이아몬드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문 부사장은 “디지털과 AI로 제품이 변화되는 만큼 이를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녹스’에 더해 삼성 제품 간 연결을 보호하는 ‘녹스 매트릭스’와 함께 기기 보호를 강화하는 ‘녹스 볼트’를 가전에 적용해 개인 정보보호에 대한 전방위 보안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 스크린 탑재와 스마트싱스로 ‘AI 홈’ 구현
삼성전자는 이번 가전에 ‘AI 홈’ 터치스크린을 탑재했다. 냉장고는 9인치 스크린을, 세탁기와 건조기, 인덕션, 오븐은 7인치 스크린을 적용했다. 터치스크린이 허브 기능을 동시에 제공해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모든 가전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됐다.
또 와이파이·지그비·스레드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때문에 별도의 허브가 없어도 매터(Matter)나 HCA 표준의 가전뿐 아니라 조명과 스위치 등 다양한 IoT 기기까지 바로 조작할 수 있다.
이번에 선보인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는 스크린에서 일정·날씨·추천 식단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형태의 ‘데일리 보드’를 지원한다. 신선식품을 넣거나 뺄 때 자동으로 인식해 푸드 리스트를 만드는 기능은 인식 식품 종수를 더욱 확대했다.
문 부사장은 “비스포크 AI 제품에 스크린과 마이크, 스피커를 탑재해 스마트폰과 유사하게 터치와 음성으로 개별 제품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싱스에 연결된 모든 가전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초개인화 AI’로 밎춤형 서비스 제공
삼성전자는 자체 개발한 AI 음성비서 ‘빅스비’를 더욱 고도화했다. 대화형 LLM(대규모언어모델)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빅스비는 사용자와의 대화 흐름과 뉘앙스를 파악해 더욱 자연스럽게 구동된다. 기존 “웰컴 빅스비” 등 호출과 구체적이고 정확한 명령어를 제시해야 이용할 수 있던 서비스는 대화의 문맥만으로도 알맞은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 다수 사용자의 목소리를 구분해 인식하는 ‘보이스 ID’ 기능이 업그레이드됐다. 특정인의 정보와 설정(폰트·이미지 등)이 연동돼 다양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예컨대 “빅스비, 내 폰 찾아줘”라고 말하면 해당 사용자의 폰 벨소리를 울려 위치를 알려주는 ‘내 폰 찾기’, 폰에 설정한 접근성 기능이 가전에도 적용되는 ‘접근성 설정 동기화’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문 부사장은 “빅스비 호출 없이도 가정 내 기기를 제어하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제품 사용법과 기타 궁금한 사항은 매뉴얼을 찾거나 서비스 센터에 문의할 필요 없이 빅스비에게 질문해 필요한 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AI 가전의 핵심 가치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Easy to Use), 사용자를 돌보며(Care),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는(Saving) 솔루션을 꼽았다. 올해 AI 적용 가전은 냉장고와 세탁기 등 주요 제품을 중심으로 전년 대비 세배 이상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번 비스포크 AI 신제품으로는 ▲AI 하이브리드 쿨링 기능을 갖춘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 ▲국내 최대 세탁·건조 용량을 갖춘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 ▲특허 모터 기술을 탑재해 흡입력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끌어올린 ‘비스포크 AI 스팀’ 청소기 등을 선보였다.
문 부사장은 “이번 신제품은 하드웨어 혁신뿐 아니라 AI 연결을 통해 사용자가 귀찮고 어렵고 힘들어 하는 문제를 알아서 해결해 주는 수준까지 진화했다”며 “미래에도 기술 리더십을 기반으로 우리 삶을 혁신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 출시해 세상의 변화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