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14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평가원에서 열린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에서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자료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포스코이앤씨의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 공사에서 발생한 미얀마 근로자 감전사고 여파로 수사·제재 논란과 적자 전환이 겹친 ‘3중 압박’에 놓였다. 피해자의 의식 회복으로 여론 악화는 일부 완화됐지만, 정부의 일방적인 면허취소 공방 속 영업정지·입찰 제한 등 실질 제재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이앤씨가 지난 7월말 발생한 경기 광명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공사’ 감전사고 여파로 수사와 제재 논의, 실적 부담이 겹친 3중 압박에 직면했다.
정부·수사당국은 현장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 중이며, 정치권 일각에서 면허취소까지 거론되자 업계 전반의 긴장도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면허취소의 법적 문턱이 높고 선례가 드문 점을 들어 현실적 수순으로는 영업정지 및 공공입찰 제한 가능성을 우선 거론한다.
이 경우 관급·민간 프로젝트 모두에서 수주 공백과 보증·보험료 상승 등 조달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연쇄 사고 이력은 발주처 심사에서 감점 요인으로 작동해 신규 수주 경쟁력에도 부담을 줄 전망이다.
재무 측면에선 최근 분기 실적이 적자 전환하며 체력이 약화된 가운데, 안전 관련 추가 비용과 충당금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ESG·평판 리스크도 확산됐다. 특히 이주노동자 안전과 공급망 인권 이슈는 해외 투자자와 금융기관의 심사 항목으로 부상해 자금조달 여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피해 근로자의 의식 회복은 여론의 급격한 악화를 일정 부분 완충했으나, 형사·행정 책임 판단에 직접적 변수가 되기 어렵다는 평가다. 오히려 회사의 후유장애 보상·가족 케어·직업재활 등 장기 지원책 마련 요구가 커지고 있다.
향후 관건은 사전 예방 중심의 전면 개편이다. 전력 격리·잠금표시(LOTO)·검전·접지 등 전기안전 절차의 상시 준수, 침수·밀폐 등 복합 위험공정의 작업허가제 엄수, 절연장갑·절연장화 등 보호구 지급·착용 통제, 2인1조 및 감시자 배치의 제도화가 핵심으로 꼽힌다.
동시에 이사회 산하 산업안전·인권위원회 설치, 중대사고 지표(KPI) 외부 공시, 다국적 인력 대상 모국어 안전교육·상시 통역 체계 구축 등 거버넌스 보강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종합하면, 실제 제재는 영업정지·과징금·입찰 제한의 조합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관련업계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신뢰 회복에 성공하려면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사업 지속의 라이선스”라는 원칙 아래 예방–측정–공시의 선순환을 수치로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