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겐·유산균부터 여성청결제·덴탈케어까지 관심 확대
올리브영N 성수, 전용관 구성…웰니스 전문관 본격 운영
[소셜밸류=한시은 기자] CJ올리브영은 올해 1~5월 오프라인 외국인 고객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너뷰티·건강기능식품·W케어 등 웰니스 상품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그간 선크림, 마스크팩 등 K뷰티 상품 중심이던 외국인 관광객의 구매가 웰니스 전반으로 확산되는 흐름이다. 실제로 이너뷰티 카테고리는 전년 대비 55% 증가했고, ‘콜레올로지 컷팅젤리’ ‘석류콜라겐’ ‘락토핏 슬림 유산균’ 등의 외국인 매출은 200% 안팎 급증했다.
▲서울 성동구 올리브영N 성수 매장의 웰니스에딧관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하고 있다./사진=CJ올리브영 제공 |
건강기능식품 분야 역시 같은 기간 29% 성장했다. 이뮨 멀티비타민·비타민C 등 내국인 인기 제품에 더해, 샷 형태나 캐릭터 컬래버 등 외국인 고객 눈길을 끈 기획 상품도 확대되고 있다. 올리브영은 과일맛 에브리타임(정관장), 캐릭터 협업 ‘마그랩’, ‘국민영양제’ 라인의 에스더포뮬러 등으로 제품군을 다양화했다.
W케어 상품군은 전년 대비 66% 성장했다. 여성청결제와 질 유산균을 비롯해 이노시톨 등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수요도 함께 늘고 있다. 아로마티카, 인클리어 등이 대표 인기 브랜드로 꼽혔다.
덴탈케어 부문에서는 구강 스프레이와 미백 제품군이 외국인 구매 상위에 올랐다. 가그린, 뷰센, 유시몰 등이 주목받는 가운데, 올리브영은 오는 7월 글로벌 상권 주요 매장에 ‘뷰센’ 브랜드 전용 영문 매대를 운영할 계획이다.
올리브영은 웰니스 상품군을 전략적으로 확대해왔다. 팬데믹 시기부터 비타민 샷, 구미, 이중 제형 등 다양한 건강관리 상품을 도입했고, 2022년 W케어 카테고리, 2023년 이너뷰티 강화 등을 통해 상품군을 체계화했다.
지난해 말 오픈한 외국인 특화 매장 ‘올리브영N 성수’는 웰니스 전문 공간을 갖췄다. 매장 내 ‘웰니스에딧’관에서는 잘 먹고, 잘 자고, 잘 쉬고, 잘 움직이는 네 가지 테마로 상품을 큐레이션해 소개하고 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면서 외국인 고객도 다양한 K웰니스 상품을 찾고 있다”며 “경쟁력 있는 중소 브랜드와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