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자산운용 ‘미국 대표지수 ETF’ 순자산 7000억원 돌파

금융·증권 / 황동현 기자 / 2024-03-21 14:37:08
미국 대표지수에 가장 저렴한 보수로 투자 가능
분배주기 변경해 기존 분기 배당 투자자 선택지 확장

[소셜밸류=황동현 기자] KB자산운용 ‘미국 대표지수 ETF’가 인기다. 미국 대표지수에 가장 저렴한 보수로 투자가 가능하며, 분배주기를 변경해 기존 분기 배당 투자자의 선택지를 확장한 점도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KB자산운용은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 ‘KBSTAR 미국S&P500 ETF’와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의 총 순자산 규모가 7000억원을 돌파했다고 21일 밝혔다.
 

▲KB자산운용의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 ‘KBSTAR 미국S&P500 ETF’와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의 총 순자산 규모가 7000억원을 돌파했다/사진=KB자산운용 제공

두 ETF는 각각 미국 대표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100에 현물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지난 2021년 운용보수를 전 세계 동일 지수 상품 최저 수준인 0.001%로 인하한 뒤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서 공시하는 ‘총보수·비용비율(Total Expense Ratio·TER)’을 살펴보면 ‘KBSTAR 미국S&P500’이 연 0.10%, ‘KBSTAR 미국나스닥100’은 연 0.14%다. 이는 국내에 상장된 미국 대표지수 추종 상품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2월 말 기준)

총보수·비용비율(TER)이란 운용보수를 비롯한 보수합계에 기타비용과 매매 중계수수료율까지 포함한 것이다. 즉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보수비용 수준’을 말한다. 해당 값이 낮을수록 ETF를 저렴하게 운용한다고 볼 수 있다.

‘KBSTAR 미국S&P500 ETF’와 ‘KBSTAR 미국나스닥100 ETF’는 지난해 12월부터 분배지급기준일을 1, 4, 7, 10월에서 3, 6, 9, 12월로 변경해 투자 활용도를 높였다. 일반적으로 ETF는 편입한 주식이나 채권 등에서 발생하는 배당, 이자 등을 투자자에게 분배금으로 제공한다.

주로 1, 4, 7, 10월에 S&P500과 나스닥 ETF로부터 발생하는 분배금을 받던 연금투자자나 은퇴생활자 입장에선 두 상품을 통해 분배주기에 대한 선택지를 넓힐 수 있게 된 셈이다.

김찬영 KB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개인·퇴직연금 계좌에서 미국 대표 지수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선물이 아닌 현물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이 적합하다”며 “특히 장기 적립식 투자를 하는 경우 보수 등 비용 차이가 장기 성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유사 상품들의 비용을 꼼꼼히 비교해 보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KB자산운용, 새해 사회공헌활동 강화···"상생가치 실현"2024.01.09
    KB자산운용, 디폴트옵션 펀드 수탁고 1000억 달성···"변동성 장세서 안정적 성과"2024.01.17
    KB자산운용, ‘KB 머니마켓 액티브’ 펀드 3000억 돌파2024.02.15
    KB자산운용, 코스피200 ‘위클리커버드콜 ETF’ 매월 1% 수준 배당2024.03.05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