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밸류=최연돈 기자] 현대모비스가 협력사와의 기술 협력과 ESG 역량 강화를 통해 대표적인 상생 경영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 |
▲현대모비스가 협력사와의 상생 활동을 담은 동반성장 안내책자를 발간해 업계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과 성과를 공유했다./사진=현대모비스 제공 |
현대모비스는 15일 협력사와의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과 성과를 담은 ‘동반성장 안내책자’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책자에는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 시스템을 기반으로 대·중소기업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해온 주요 사례와 성과가 포함됐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최근 3년간 협력사의 신기술·신제품 개발을 위해 총 1,800억 원을 지원했으며, 공동 출원 특허는 850건을 넘어섰다. 현재 국내외 약 4,100여 개 협력사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동반성장 문화 조성 ▲지속가능 환경 조성 ▲소통과 신뢰를 축으로 상생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는 협력사 ESG 역량 제고를 위해 제품 생산 전 과정의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는 ‘전과정평가(LCA) 컨설팅’을 도입했다. LCA는 원재료 채취부터 생산, 사용, 폐기까지 발생하는 모든 환경 영향을 분석하는 제도로,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들의 탄소 감축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현대모비스는 협력사들이 실제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가진단 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무상 컨설팅을 지원했다.
또한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프로그램 ‘모비우스 부트캠프’를 올해 신설해 협력사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첫 기수에는 300명이 선발돼 실무 중심의 SW 특화 교육을 받고 있으며, 교육 이수 후 협력사 취업 연계까지 지원받는다.
현대모비스는 이 외에도 공급망 관리, 공정거래 제도, 기술 지원 및 지식재산권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사 경쟁력 제고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에는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6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며 업계의 신뢰를 입증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협력사와의 기술 협업과 ESG 강화 노력이 상생 생태계 조성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 기술 개발과 글로벌 경쟁력 확대를 통해 동반성장 모델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