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통일부, 남북 독립운동사 교환 추진… 2026년 공동 8·15 개최 촉구 (4부)

정치 / 이덕형 기자 / 2025-08-15 11:06:31
李대통령 "광복으로 찾은 빛·내란서 지킨 빛 함께 지켜내자“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이덕형기자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2026년 광복 81주년을 앞두고, 남북이 독립운동사 자료를 교환·통합해 ‘완전한 한민족 독립운동사’를 복원하는 국가 전략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완전한 광복절’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 의지가 필요하다. 특히 통일부가 중심이 돼 북한과의 실무 협상을 주도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학술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남북 관계를 개선하고 민족 정체성을 복원하는 국가 전략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통일부가 ▲항일운동 사료 목록 작성 ▲디지털화 작업 ▲교환 절차 마련 ▲공동 보존 규약 체결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남북 공동기록보존센터 설립이나 제3국(예: 스위스, 몽골 등) 중립지에서의 자료 교환 행사도 고려할 수 있다.
 

북한이 보관한 함경·평안·자강도 지역 무장부대 기록과 재판 자료, 민간 지도자 문서가 남한의 자료와 결합될 경우, 독립운동사의 빈칸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한민족 독립운동사’가 편찬되면, 향후 통일 교과서의 핵심 기반이 된다.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이 과정을 2026년 광복 81주년 공동 경축행사와 연결하자는 입장이다. 

 

서울 또는 평양에서 남북 정상이 참석하는 경축식, 공동 자료 전시, 학술토론회를 통해 세계에 ‘역사 통합’의 메시지를 발신하는 것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역사·문화 분야 협력은 정치·군사 현안보다 대화 여지가 크다”며 “남북 정상의 공동 8·15 개최는 단절된 민족 공동체를 잇는 강력한 상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 전문가와 학계는 이를 ‘과거 복원과 미래 통일을 잇는 전략적 다리’로 규정한다. “2026년이 그 출발점이 돼야 한다. 완전한 독립운동사는 단순한 역사 사업이 아니라, 통일시대의 정체성을 세우는 뿌리이자 미래를 준비하는 국가 전략”이라는 것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광복절' 남북 공동 독립운동사 복원, 이렇게 추진한다 (3부)2025.08.15
    '광복절' ‘완전한 8·15’ 위한 남북 자료 공유… 2026년 공동 기념 제안 (2부)2025.08.15
    '광복절' 남한 중심 독립운동 기록… ‘반쪽의 광복절’ 한계 드러나 (1부)2025.08.15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