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이덕형 기자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완전한 독립운동사 복원을 위해서는 북한이 보관한 항일 자료의 확보와 공유가 시급하다. 현재 남한의 독립유공자 지정은 남측 자료에만 의존해, 북측에서 활동하거나 일본 헌병·법원에 의해 재판받은 수많은 인물이 ‘기록 없는 영웅’으로 남아 있다.
북한에는 항일무장부대 활동 기록, 지하조직 보고서, 일제 재판 자료 등 귀중한 사료가 보관돼 있다. 그러나 남북은 분단 이후 80년 동안 자료 교환이나 공동 검증을 한 사례가 없으며, 학계는 이를 ‘반쪽 광복절’의 근본 원인으로 지적한다.
현재 남한의 독립유공자 지정은 남측 자료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북측에서 활동하거나 일본 헌병·법원에 의해 재판받은 수많은 인물은 ‘기록 없는 영웅’으로 남아 있다.
북한에는 항일무장부대 활동 기록, 지하조직의 보고서, 일제 헌병대·법원 재판 자료, 피체·수형 기록 등 귀중한 사료가 보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평안북도 의주 출신의 한 독립운동가는 1930년대 초 중국과 북한 지역을 오가며 무기 운반과 연락 임무를 수행했으나, 현재 남한에는 그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다.
또한 평안남도 안주 출신의 한 독립운동가는 독립선언문을 낭독한 뒤 투옥되었고, 이후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해방 후 북한에서 ‘영웅’ 칭호를 받은 인물이었으나, 6·25전쟁으로 고향을 떠나면서 남한에는 그에 대한 자료가 전혀 남지 않았다.
그는 독립선언문을 낭독한 독립투사의 후손임에도, 남한에서는 기록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학계는 이러한 ‘기록 공백’이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다.
남북은 분단 이후 약 80년 동안 자료 교환이나 공동 검증을 한 사례가 없다. 남북 정상회담이나 장관급 회담에서 경제·군사·인도적 교류는 논의된 적이 있지만, 역사·문화 사료 공유는 단 한 번도 정식 의제로 채택되지 않았다.
역사학계는 이 단절이 ‘반쪽 광복절’의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한 역사연구소 소장은 “북한 지역 투쟁사를 복원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기념은 불완전하다”며, “양측 자료를 합쳐야만 진정한 의미의 독립운동사가 된다. 이는 통일 이후 역사 통합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정치권과 시민사회 일부에서는 2026년 광복 81주년을 남북 공동 기념행사로 치르자는 제안이 나오고 있다.
이 제안은 단순히 두 정상이 같은 무대에 서는 것이 아니라, ▲남북 공동 경축식 개최 ▲자료·유물 교환 ▲공동 전시회를 포함한 구체적 로드맵을 담고 있다.
남북이 보유한 자료를 최초로 통합 전시하는 장면은 국내외 언론을 통해 전 세계에 중계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역사 통합을 통한 정치적 화해’의 상징으로 본다. 군사적 긴장이 반복되는 한반도에서 역사·문화 교류는 대화를 열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