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이덕형기자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광복절 경축사 에서 “독재와 내란에서 지켜낸 빛이 꺼지지 않아야 한다.” 李대통령의 이 발언은 광복의 정신을 후세까지 온전히 계승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분단 80년의 벽을 넘어 완전한 독립운동사를 복원하기 위해 자료 확보에서 국제 홍보까지 이어지는 3단계 로드맵을 제시하며, 2026년을 ‘역사 통합’의 원년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문가들이 제안하는 남북 독립운동사 복원 로드맵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1단계: 자료 확보와 공동 검증
우선 북한이 보유한 항일투쟁 사료 목록을 상호 교환하고, 양측 학자와 관계자가 참여하는 ‘남북 공동 검증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 여기에는 역사학자뿐 아니라 기록보존 전문가, 디지털 아카이브 기술자, 국제기구 자문단이 포함된다.
함경·평안·자강도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의 인적 사항, 활동 연혁, 재판 기록을 체계적으로 수집·확인하며, 자료의 진위 여부를 가리기 위해 유네스코, 국제기록위원회(ICA) 등과 협력할 수 있다.
2단계: 학술·문화 교류 확대
자료 검증과 병행해 학술세미나, 공동 연구서 발간, 전시회, 학생·청년 교류단 운영을 진행한다. 서울과 평양을 번갈아 개최지로 할용한다.
‘남북 항일투쟁 특별전’을 열고, VR·AR 기술을 활용해 자료를 실감형 콘텐츠로 제작해 온라인에서도 관람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젊은 세대가 ‘공통의 역사’를 체험하고 공유하도록 한다.
3단계: 국제사회 협력과 세계 홍보
복원된 독립운동사는 영어·중국어·일본어 등으로 번역해 해외 전시와 학술 교류에 활용한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해외 한인 사회와 연계해 미국·유럽·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한민족 독립운동 특별전’을 개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립운동사는 단순한 민족사를 넘어, 인류 보편의 해방·평등·자유의 역사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정치권은 2026년 광복 81주년을 이 로드맵의 출발점으로 삼자는 제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행사에서 남북 정상이 복원 성과를 발표하고, 공동 전시를 개막하며, 국제 언론을 통해 전 세계에 알리는 장면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수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