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직접 통신으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강화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LG전자가 KT와 손잡고 차세대 초(超)보안 통신 기술인 ‘양자 인터넷 통신’ 공동 연구개발에 나섰다. 인공지능(AI), 로봇, 자율주행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통신 보안 기술이 부상하는 가운데, 양자 직접 통신 기술을 통해 기존 암호체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을 제시할 전망이다.
![]() |
| ▲LG전자가 서울 서초구 KT우면연구센터에서 KT와 '양자 인터넷 R&D 기술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왼쪽부터)LG전자 CTO부문 제영호 C&M표준연구원장과 KT 이종식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사진=LG전자 제공 |
LG전자(대표 조주완)는 최근 서울 서초구 KT우면연구센터에서 양자 인터넷 공동 R&D 및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LG전자 제영호 C&M표준연구소장과 KT 이종식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양자 직접 통신(Quantum Direct Communication·QDC) 기반 초보안 네트워크 구축 ▲양자 중계기 및 네트워크 요소 기술 개발 ▲검증 및 실증환경 구축 ▲국내외 표준화 대응과 생태계 조성 등을 공동 추진한다.
양자 직접 통신은 큐빗(Qubit)이라 불리는 양자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중 도청이나 해킹 시도가 발생하면 양자 상태가 붕괴돼 정보가 즉시 소멸되는 원리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기존 통신 대비 압도적인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LG전자와 KT는 이 기술을 AI홈, 로봇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차 등 사람과 기계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차세대 서비스에 적용, 해킹 불가능한 통신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통신 기술 분야에서 축적해온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양자 인터넷 핵심 기술개발을 주도한다. 지난해 LG전자가 개발한 양자 통신 기술은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돼 2024년 물리학 분야 ‘Top 100 논문’으로 선정됐으며, 인용도와 주목도에서 전 세계 2위를 기록했다.
KT는 유·무선 양자 암호키 분배(QKD) 기술과 실증 경험을 기반으로 시스템 구현과 실증을 담당한다. 두 회사는 지난해 6G 연구개발 협력을 맺은 데 이어 이번 양자 인터넷 협업을 통해 국내 양자 기술 생태계 확장과 산업 표준화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KT 이종식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은 “LG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양자 인터넷 원천기술 확보와 실증 역량을 강화하겠다”며 “양자 네트워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 CTO부문 제영호 C&M표준연구소장은 “양자 인터넷 통신은 미래 통신산업의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기술 현실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서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