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와 중소기업 일자리 매칭, 보조기기·근무환경 지원으로 자립기반 마련
![]() |
▲ 장애인 근로자 업무수행 모습 |
[소셜밸류=박완규 기자] 인천시의 한 중소기업은 지난 2월 지체장애가 있는 이용우 씨(가명, 40대)를 디자이너로 채용했다. 양팔을 자유롭게 쓰기 어려운 그는 보조기기 부족으로 작업에 불편을 겪었고, 해당 기업도 장애인 고용이 처음이라 정착 지원이 필요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중소기업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에 참여해 직무 조정과 보조기기 지원 등으로 근무환경을 개선했고, 현재는 안정적으로 업무를 이어가고 있다.
‘중소기업 장애인 일자리 지원사업’은 복권기금의 지원을 받아 고용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 구직자와 인력난을 겪는 중소기업을 연결하며, 상생의 고용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올해 처음 시작된 이 사업에는 총 10억 원의 복권기금이 투입됐으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 취업 연계, 인건비 보조, 근무환경 개선 등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장애인 고용 의무가 없는 소규모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고용 지원 제도로부터 소외됐던 기업과 구직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올해 7월 기준 총 49명의 장애인이 채용됐고, 31개의 중소기업이 참여해 기업별 수요에 맞춘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고 있다. 사업 참여 기업에 보조기기 제공, 직무 적합성 조정, 인건비 보조, 고용 유지를 위한 제도 설계 지원 등 실효성 있는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근로자와 중소기업 간의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인천시 산업정책과 관계자는 “이 사업은 단순한 채용을 넘어, 장애인과 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장애인의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과 기업 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관계자는 “복권은 단순한 행운의 기회가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며, “이번 지원사업처럼 복권기금은 장애인 일자리 창출뿐 아니라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포용 사회를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