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조선소 중대재해 왜 반복되나…구조적 안전관리 부실 ‘도마 위’

산업·기업 / 최연돈 기자 / 2025-05-28 09:44:19
노동계 “하청구조·안전체계 총체적 점검 필요”
▲경남 거제시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거제도 대형 조선소에서 중대재해가 잇따르면서 조선업계의 안전관리 실태가 도마에 올랐다. 반복되는 참사에 대한 구조적 원인 규명과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지난 27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하청업체 소속 50대 노동자가 모노레일 크레인 수리 중 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이 사고는 같은 조선소에서 이달 초 발생한 팔 절단 사고 이후 불과 19일 만에 벌어진 중대재해다. 고용노동부는 사고 직후 수사관을 현장에 급파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앞서 1월에는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에서 잠수 작업에 투입된 노동자가 사망했으며, 열흘도 지나지 않아 방향타 연마 작업 중 또 다른 하청 노동자가 폭발 사고로 숨지는 등 중대재해가 연쇄적으로 이어졌다. 사망자 중에는 20~30대 청년도 포함돼 충격을 더했다.

 

노동계는 반복되는 재해의 근본 원인으로 “형식적 안전지침과 무력화된 현장 실행력”을 꼽는다. 산업안전보건법상 2인 1조 작업 지침을 포함한 안전 규정이 존재하지만, 실제 작업 현장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화오션 잠수 작업 사고의 경우, 지침상 잠수 대상이 아니었던 인력이 투입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관리 부실 논란이 확산됐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대형 조선소들이 최소한의 안전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해도, 그것이 실제로 작동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원·하청 구조 속에서 하청 노동자들이 위험한 작업에 노출되고 있음에도 실질적인 개선은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전문가들은 하청 노동자에 집중되는 산업재해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형태에 맞춘 통합적 안전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진단한다며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들에게 집중되는 사고는 단순한 관리 소홀을 넘어 원·하청 간 구조적 책임 공백이 작용하고 있다. 공동 안전보건관리 체계를 법제화하고, 교육·점검을 함께 진행하는 방식의 근본적 개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선업이 슈퍼사이클에 진입하며 실적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생명을 위협받는 노동자들의 현실이 계속되고 있다. 호황의 그늘에 가려진 이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실질적인 변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