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장세 투자대안”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 순자산 600억 돌파

금융·증권 / 황동현 기자 / 2025-10-27 09:23:05
3개월 수익률 7.57%…안정적 이자수익 확보
금리 하락 시 추가 자본수익도

[소셜밸류=황동현 기자] 금리 하락 시에도 추가 자본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 순자산이 600억원을 넘어섰다. 만기 3~10년 수준의 미국 국채(30%)와 관련 ETF(70%)에 주로 투자하는 국내 운용업계 유일의 중단기 국채 펀드로, 3개월 수익률이 7.57%를 기록중이다.


KB자산운용(대표이사 김영성)은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 순자산이 600억원을 넘어섰다고 27일 밝혔다.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 순자산이 600억원을 넘어섰다/사진=KB자산운용 제공

 

글로벌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고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변동장세에도 안정적 성과를 낼 수 있는 투자 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다. 이에 지난 3개월간 약 200억원의 자금이 들어왔다.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만기 3~10년 수준의 미국 국채(30%)와 관련 ETF(70%)에 주로 투자하는 국내 운용업계 유일의 중단기 국채 펀드다. 크레딧 채권 등의 위험자산을 편입하지 않고 평균 신용등급 ‘AA+’ 수준의 순수 미국 국채에 투자해 안정적인 이자수익을 추구한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UH)’의 3개월 수익률은 지난 24일 기준 7.57%로, 단기 금리 변동 구간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중기채는 장기채 대비 금리 민감도와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금리 인하 국면에서는 추가 자본 수익도 노릴 수 있다. 실제 미국 중단기 국채는 과거 금리 인하 시기에 장기채보다 낮은 변동성을 바탕으로 양호한 성과를 나타낸 바 있다.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금리 수준이 높은 미국 달러 발행 채권에 투자해 다른 선진국 통화 채권 대비 높은 이자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주식과의 상관관계가 낮은 만큼 경기 침체 시 증시 조정에 따른 투자자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연치상 KB자산운용 해외채권운용실장은 “미국 정부 셧다운으로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고 있으나 시장 우려와 달리 관세에 따른 물가 상방 압력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흐름을 감안할 때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와 내년 상반기 추가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듀레이션이 약 6.0년 수준인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금리 인하 시기에도 변동성을 낮추면서 효율적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B 미국 중단기국채 펀드’는 환헤지형(H)과 환노출형(UH) 2종으로 나뉘며 KB국민은행, 광주은행, KB증권 등에서 가입할 수 있다. 판매사는 추후 확대 예정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KB운용 ‘KB 퇴직연금배당 시리즈’ 최대규모·최고수익 달성2025.09.08
    KB운용, 해외 공모펀드 환매주기 ‘파격 단축’...환매대금 최대 4일 빨리줘2025.09.11
    KB운용, ‘RISE 데일리고정커버드콜’ ETF 3종 순자산 5000억원 넘어서2025.09.30
    KB운용 ‘RISE 데일리고정커버드콜 ETF’ 상장 1주년 이벤트 "신라호텔 식사권 등 경품"2025.10.14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