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프로젝트 참여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항공우주 분야로 사업 외연을 넓히며 차세대 우주용 배터리 개발에 본격 나섰다.
![]() |
| ▲LG에너지솔루션 CI 이미지/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
LG에너지솔루션은 12일 미국 사우스8 테크놀로지스(South8 Technologies)와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연구·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우스8은 전 세계 최초로 리튬이온 배터리용 ‘액화 기체 전해질’을 개발한 미국 혁신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타임지가 선정한 ‘2024년 200대 발명품’에 오르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협력으로 항공우주용 배터리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사우스8의 ‘액화 기체 전해질’ 기술이다. 기존 액체 전해질은 영하 20도 부근에서 작동이 어려웠지만, 액화 기체 전해질은 영하 60도 이하 극저온에서도 성능 저하 없이 구동할 수 있어 우주환경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또 물리적 충격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전지 내부 용매가 급속히 기화해 온도를 낮추고, 기화된 전해질이 빠르게 배출돼 셀이 ‘더미 셀’로 전환되면서 화재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방식이다.
양사 협력은 미국 항공우주청(NASA)과 KULR 테크놀로지 그룹이 추진 중인 ‘우주탐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돼 더욱 주목된다. KULR은 텍사스 우주위원회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차세대 저온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프로젝트에서 사우스8은 액화 기체 전해질과 특수 주액 기술, 외장재 등을 활용한 최종 셀 제작을 담당하고, LG에너지솔루션은 극저온 환경에 최적화된 배터리 셀 설계와 성능 평가를 맡는다.
양측의 협력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양사는 2019년 LG에너지솔루션의 ‘스타트업 챌린지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 만났고, 2024년에는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해 액화 기체 전해질 기반 전지 개발을 본격화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양사 간 장기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다.
LG에너지솔루션 김제영 CTO는 “액화 기체 전해질은 극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배터리 성능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혁신 기술”이라며 “향후 극저온 항공우주 탐사는 물론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