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MBK가 개입하는 한 제2의 홈플러스 사태 우려

인물·칼럼 / 김완묵 기자 / 2025-03-16 07:18:15
MBK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참여 명분 없어 보여
제2 홈플러스 사태 막으려면 고려아연 분쟁 빨리 끝내야
정부 당국-금융감독원-국회도 먼 산 불 보듯 방치하면 안돼
▲홈플러스 마트노조가 김병주 MBK 회장의 국회출석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고려아연 분쟁 시태가 터진 지 벌써 1년이 다돼 가고 있다. 급기야 MBK파트너스가 분쟁에 개입하면서 아이 싸움이 어른 싸움으로 비화된 지는 6개월이 넘었다. 

 

그러나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주인이 누가 될지 암흑천지 싸움이 계속되고 있다. 회사는 어찌어찌 경영을 하고 있지만 앞날은 지극히 불투명한 채로 운영되고 있다. 그 사이 주가는 이 기회에 한방을 노리는 투기꾼들이 가세한 머니게임에 시달리면서 적정 가치를 훨씬 웃도는 수준까지 튀어 올랐다.

 

경영권 싸움이 끝나고 승자가 누가 되든 산으로 오른 주가를 되돌리고 사태 수습을 하면서 정상 경영을 하기 위해선 출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는 대목이다. 승자라 하더라도 적정가치 이상으로 부풀어 오른 가격에 잔뜩 주식을 사 모았을 것이기에 투자 손실이 발생할 것이고, 이는 상당 기간 재무적 압박을 가할 것이다. 적정 가치 이상으로 회사를 인수한 경우에 나타나는 부작용은 최근의 홈플러스 사태가 적나라하게 보여주기에 고려아연의 미래를 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다. 

 

이런 대목에서 고려아연 측이 미래에 예상되는 출혈을 막기 위해 지난 가을 전격적으로 유상증자를 실시하려 한 것이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필자는 아마도 누가 승자가 되든 고려아연은 분쟁 사태가 끝이 나면 유상증자나 감자를 실시해 재무적 압박을 해소하려는 작업을 해야 할 것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 최윤범 회장 측이 당시 유상증자를 실시하려 했던 것도 미래의 재무적 압박을 선제적으로 해소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주주들의 거센 항의와 금융감독원이 개입하면서 유상증자는 없던 일이 되었고 주가는 적정가치로 평가되는 40만원 내지 50만원 수준의 5~6배인 240만원까지 솟아 오르는 결과를 초래했다. 현재도 주가는 70만원에서 100만원 선을 왔다갔다 하면서 적정가치를 크게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제 MBK 파트너스는 이 머니게임에서 하루라도 빨리 빠지기를 권고하고 싶다. 왜냐하면 MBK가 이 머니게임에 참전하는 이상 고려아연은 제2의 홈플러스 사태를 유발할 가능성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와 같은 사모펀드(PEF)가 국내에 도입된 것은 21년째가 되고 있다. 초창기 PEF는 자본시장의 핵심 구성원으로 인수합병(M&A) 시장에 돈이 돌게 만들고, 인수한 회사의 체질을 바꿔 업계에 활기를 불어넣는 '착한 메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최근 들어 MBK와 같이 대기업 경영권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려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투자 이익만을 노리는 '약탈적 기업 사냥꾼'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이는 머니게임에 환호하는 투기꾼들의 배를 불려주는 대신 회사가 멍들고 회사를 통해 먹을거리와 일자리를 마련하는 노동자와 협력업체에는 치명적인 손해 혹은 먹퇴를 초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일 게다. 

 

PEF에 대한 이런 우려는 MBK가 지난 2023년 말부터 한국앤컴퍼니와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잇달아 참여하면서 더 커졌다는 분석이다. 재계 관계자들은 MBK가 최근 대기업 거버넌스(지배구조) 변화를 추동하는 자본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PEF발 M&A 격랑'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많은 대기업 오너가의 승계가 3∼4세대째로 접어들고 지배 지분이 대폭 희석되면서 주식 매입을 통한 외부의 인수 시도에 취약해진 상황도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상황은 멀쩡하게 잘나가는 기업마저 소모적 M&A 분쟁에 휘말리게 함으로써, 폭망하게 하거나 나락에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걱정거리로 화근이 커지고 있다. 방치할 경우 제2, 제3의 홈플러스 사태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 관계 당국이나 금융감독원은 경각심을 갖고 사태를 주시해야 할 것이다. PEF의 경영권 인수 시도 행위를 단순하게 시장논리에 맡긴 채 방관자의 입장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하고 싶다. PEF 개입에 대한 어느 정도의 가이드라인을 설정해 견실한 기업들이 머니게임에 휘말리는 사태를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나 금융감독원의 일 처리가 미흡하다면 국회가 적극 나설 필요도 있다. 홈플러스, 고려아연 사태가 재발돼 국민의 필수산업 혹은 기간산업마저 흔들리게 될 경우 사태는 소비자 주권 피해와 국가경쟁력 훼손으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 금융감독원, 국회가 고려아연이나 홈플러스 사태를 먼 산에 난 불 보듯 태평하게 바라볼 때는 아닌 듯 싶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