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롯데마트 제공. |
[소셜밸류=이호영 기자] 롯데마트(대표 강성현)는 팬데믹 기간의 숨 고르기를 끝내고 22일 인도네시아 땅그랑 시 남부 지역에 50번째 점포이자 36번째 도매점 '세르퐁점'을 신규로 열며 현지 '그로서리 1번지'에 도전한다고 밝혔다.
세르퐁은 인구 150만명이 주거하는 남부 땅그랑시 인구 밀집 지역이다. 특히 20~30대 인구 구성비가 34.1%(전국 평균 대비 +2.8%)다. 또 1인당 GDP가 인도네시아 전체 1인당 GDP의 약 2.5배가 넘는 고소득 전문직이 다수 거주하는 특수 상권이다.
현재 오피스·쇼핑몰 등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는 등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 환경을 갖고 있지만 상권을 아우를 수 있는 현대식 유통 채널은 부족하다.
이번에 여는 롯데마트 세르퐁점은 지역의 유일한 현대식 도매점이다. 단층 구조 1400여평(4628㎡) 규모인 매장 면적 80% 이상을 식품 매장으로 채워 상품 경쟁력을 대폭 강화했다. 특히 상권 핵심 고객인 '호텔·레스토랑·카페(HORECA)' 사업자와 고소득층 일반 소매 고객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매장 환경과 상품을 선보인다.
세르퐁점은 HORECA 사업자 고객이 주로 이용하는 상품들을 모아놓은 'HORECA 센터'와 '노점·상점(Warung)'을 운영하는 업주 전용 소용량 상품을 모아놓은 '리테일러 존' 등 소매 유통업자 고객 편의를 강화했다. 또 일반 소매 고객이 원스톱 쇼핑할 수 있도록 소매점에서 살 수 있는 상품군도 갖췄다.
현지 고객 트렌드를 고려한 특화 존을 다수 마련했다. 아시아·북미·호주 등지 상품을 모아놓은 '글로벌 상품 존', 다양한 헬스앤뷰티(H&B) 상품의 '뷰티 어드바이스 존', 레디 투 드링크(RTD) 성장세에 따른 'RTD 주스 존' 등에서 다채롭게 쇼핑할 수 있다.
특히 롯데마트 세르퐁점엔 K 푸드도 다양하게 취급한다. 지난 10월 롯데마트는 인도네시아 MZ 세대에 부는 K 푸드 열풍을 타고 인도네시아 현지에 K 푸드 개발을 위한 푸드 이노베이션 랩(FIL)을 설립했다. 세르퐁점은 FIL 대표 상품 양념 치킨과 유부 초밥, 떡볶이 이외 한국식 베이커리 메뉴인 크림소보로, 고구마 빵은 물론 새로 개발한 참치 컵밥, 매운 오뎅 김밥 등 풍성한 K 푸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롯데마트의 자체 피자 브랜드 '치즈앤도우' 인도네시아 1호점도 세르퐁점에 낸다. 치즈앤도우는 롯데마트 전문 셰프 노하우를 집결한 풍부한 피자 토핑과 저온 숙성한 쫄깃한 도우가 특징이다. 18인치 대형 피자가 시그니처 메뉴다. 인도네시아 법인 MD와 쉐프들은 지난 5월 한국 롯데마트 푸드 이노베이션 센터를 찾아 오리지널 레시피를 전수 받았다. 1호점엔 현지 FIL 개발 메뉴도 추가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인도네시아 K 푸드 열풍은 델리카 코너뿐 아니라 신선 식품까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사과·배·딸기 등 한국 과일이 현지인에게 큰 인기인 점에 착안, 롯데마트 인니 법인은 한국 대표 겨울철 과일인 딸기를 한국에서 직접 주 2회 항공기로 운송, 판매한다.
롯데마트는 2008년 인도네시아 마크로 19개 점을 인수하며 대한민국 유통사 처음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해 현재 35개 도매점과 14개 소매점을 운영하고 있다.
롯데마트 인도네시아 사업은 지난 14년간 팬데믹 기간인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고 평균 10% 가량 연 매출이 성장하며 롯데마트 전체 사업에서 큰 축으로 발돋움했다. 같은 해에 시작한 베트남 사업 역시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고 매년 10% 이상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 15호점 '빈점'을 열며 순항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4위 인구 수, 식료품 소비 비중이 높은 점 등으로 그로서리 유통 채널 발전 가능성이 높다. 대형마트 점유율이 전체 소매 시장 대비 낮은 수준인 것도 기회다. 글로벌 4위를 내다보는 경제 규모도 잠재력 중 하나다.
롯데마트는 해당 지역 특색을 반영한 도매형 매장과 현지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한 한국식 소매형 매장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1만 7000개 이상의 섬들로 이뤄져 있다. 자카르타 등 대도시엔 일반 소매 고객이 주요 타깃인 하이퍼 마켓, 기업형 슈퍼 등이 활성화돼 있지만 이외 지역 현대적인 쇼핑 시설은 도매 매장 형태가 주를 이룬다. 도매 매장에서 구입해 이를 섬이나 마을 등으로 가져가 재판매하는 소매 형식 유통 구조가 보편화돼 있어서다.
이에 따라 롯데마트는 현지 그로서리 1번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대도시와 고속도로 지선 상에 도매점과 소매점을 적절히 늘려가며 인도네시아 물류 거점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창용 롯데마트 해외 본부장은 "팬데믹이 끝을 보이는 가운데 인도네시아 50호점을 2년만에 연다"며 "세르퐁점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 유통업계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하도록 적극적인 투자와 영업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