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미국 증시, 빅테크 실적 발표 앞두고 나스닥-다우-S&P 계속 제자리 걸음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3-04-25 05:54:10
연준 5월 회의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89.4%
국채금리는 하락세로 돌아서...10년물 0.059%p 하락한 3.513%
▲미국 뉴욕증시가 24일(현지시간) 빅테크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이번주 빅테크 실적 발표를 앞두고 강한 의구심을 표출하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하락세를 보이며 마감했다. 장 후반에 낙폭을 줄이는 양상이었지만 끝내 하락세를 벗어나지는 못했다.

 

2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6.44포인트(0.20%) 오른 33,875.40을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52포인트(0.09%) 상승한 4,137.04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5.25포인트(0.29%) 하락한 12,037.20을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3.93포인트(0.46%) 하락한 3,007.51을 기록하며 마감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1.5% 하락한 것을 비롯해 아마존닷컴이 0.6%, 엔비디아가 0.3%, 마이크로소프트가 1.3%, AMD가 0.9%, 메타가 0.05%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다만 애플은 0.1%, 구글의 알파벳은 0.5%, 넷플릭스는 0.3% 상승하며 마감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에도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3시 49분 현재 10년물은 전장보다 0.059%포인트(5.9bp) 하락한 3.513%를 기록하고 2년물은 전장보다 0.049%포인트(4.9bp) 내린 4.142%를 마크하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다음날부터 본격 시작되는 대형 기술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주시하고 있다. 오는 25일에는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실적이 발표되며, 26일에는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의 실적이, 27일에는 아마존, 인텔 등이 실적을 발표한다.

 

이날은 개장 전에 코카콜라가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했음에도 주가는 0.16% 하락했다.

 

이날 장 마감 후 제2의 실리콘밸리은행(SVB)으로 주목받아온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실적이 발표됐다. 1분기 동안 회사의 예금이 시장의 예상보다 더 많이 줄었다는 소식에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의 주가는 개장 후 거래에서 7% 이상 하락 중이다. 정규장에서 퍼스트 리퍼블릭의 주가는 12% 이상 올랐다.

 

팩트셋에 따르면 지난 21일까지 S&P500지수에 상장된 기업 중에서 88개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1분기 기업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2%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20년 2분기 기록한 31.6% 감소 이후 가장 크게 줄어든 것이다.

 

전문가들은 기술기업들의 주가가 연초 이후 크게 올라 이번 실적에 오히려 투자자들이 실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인디펜던트 어드바이저스 얼라이언스에 따르면 S&P500지수 내 11개 섹터 중에서 올해 들어 가장 많이 오른 업종은 통신서비스와 기술 관련주다. 이들은 각각 19%, 18% 이상 올랐다. 이는 실적에 대한 기대가 상당 부분 가격에 반영됐다는 의미다.

 

미국의 경기를 보여주는 전미활동지수(NAI)가 2개월 연속 마이너스대를 기록했다는 점은 경기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3월 전미활동지수는 -0.19를 기록해 직전월과 같았다. 팩트셋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0.25보다 약간 부진했다.

 

전미활동지수가 플러스이면 경기가 장기 평균 성장세를 웃돈다는 의미며, 마이너스(-)이면 장기 평균 성장세를 밑돈다는 의미다.

 

제약업체 일라이릴리의 주가는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저혈당 치료제 바크시미(Baqsimi)를 앰퍼스타 제약에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0.5%가량 하락했다. 베드배스앤드비욘드의 주가는 회사가 주말 동안 뉴저지 파산법원에 챕터11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했다는 소식에 35% 폭락했다.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C3 AI의 주가는 울프 리서치가 투자 의견을 하향했다는 소식에 11% 이상 하락했다. 폭스뉴스의 모기업 폭스코퍼레이션의 주가는 폭스뉴스가 간판 앵커인 터커 칼슨과의 계약 해지를 발표하면서 3%가량 하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기술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주요 지표 발표를 앞두고 조심스러운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하그리브스 랜스다운의 수잔나 스트리터는 "이번 주 많은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1분기 GDP 수치 발표를 앞두고 거래는 신중할 것 같다"고 말했다. 오는 27일에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와 28일에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나올 예정이다.

 

웰스파고증권의 크리사 하비 주식 전략가도 "모든 사람이 기술 기업 실적을 기다리고 있다"라며 "이번 주는 실적에서 매우 바쁜 주로 시장은 (이를 대기하며) 제자리걸음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5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89.4%에 달했다. 금리 동결 가능성은 10.6%를 기록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