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국제 유가-천연가스, 이스라엘이 석유시설보다는 군사시설 공격 가능성에 동반 하락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4-10-09 05:30:15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38달러(1.38%) 하락한 2.708달러
WTI, 전거래일보다 3.57달러(4.63%) 폭락한 배럴당 73.57달러에 마쳐
▲미국 뉴욕에서 8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이 공격 대상을 군사시설로 변경할 것 같다는 보도에 국제유가가 급락하고 천연가스도 3일째 하락했다. 사진은 미국 텍사스에 있는 원유 저장 시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8일(현지시간) 국제 유가는 이스라엘이 공격 대상을 석유시설이 아닌 군사시설로 변경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보도에 급락 마감했다. 천연가스 가격도 소폭이지만 이날 3일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먼저 뉴욕 유가는 이날엔 5% 가까이 폭락하며 극심한 변동성 흐름을 이어갔다. 이스라엘이 이란에 반격하되 석유 시설보다는 군사시설을 우선 타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유가에 더해진 위험 프리미엄이 빠르게 빠져나갔다는 분석이다. 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3.57달러(4.63%) 폭락한 배럴당 73.5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한국 시간 9일 오전 4시 57분 현재 12월 인도분이 전 거래일 대비 3.37달러(4.16%) 급락한 배럴당 77.56달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시설을 공격할 것인지, 공격한다면 언제 공격할 것인지를 두고 관측이 뒤집힐 때마다 유가가 춤을 추고 있다. 전날까지 5거래일간 WTI 가격의 상승률은 13.16%에 달했으나 이날 하루에만 5% 가까이 폭락하며 절반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스라엘 언론인 예루살렘포스트는 이날 이스라엘이 이란의 군사시설과 정보시설을 공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관료들도 뉴욕타임스(NYT)에 이스라엘이 우선 이란의 군사 및 정보 시설을 공격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라이스타드에너지의 스테블라나 트레티아코바 수석 석유 시장 분석가는 "중국 경기 부양책이 미진해 원유 수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고 중동 갈등으로 공급이 중단된 적은 없다"며 "이날 가격 하락은 순전히 기본적인 요인이 아니라 2주간의 상승 이후 이익 실현이 반영된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스라엘 국방장관이 방미 계획을 갑자기 취소한 것은 불확실성을 더하는 요소다.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은 이날 미국 방문 계획을 전격 취소했다. 갈란트 장관은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을 만나기 위해 이번 주 워싱턴DC를 방문할 계획이었다.

 

두 장관은 이란에 대한 이스라엘의 보복 방식을 논의할 예정으로 관측됐으나 갈란트 장관의 방미 취소로 대화는 현재 갈피를 잃게 됐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사흘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시간 9일 오전 4시 55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38달러(1.38%) 하락한 2.708달러를 마크하고 있다. 앞서 8일 오전 5시 26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14달러(3.99%) 급락한 2.740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5일 오전 4시 30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37달러(4.61%) 급락한 2.833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난 4일 오전 4시 42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86달러(2.98%) 상승한 2.972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3일 오전 5시 40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5달러(0.52%) 상승한 2.911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이에 앞서 2일 오전 4시 58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4달러(0.48%) 하락한 2.909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