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1.3%, 메타 1.5%, 알파벳 2.0%, 넷플릭스 0.6% 상승
AMD는 0.3% 하락
![]() |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 중지) 위기가 사라진 호재에 힘입어 국채금리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2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후 3시 38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9포인트(0.45%) 하락한 33,557을 기록하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포인트(0.29%) 떨어진 4,275를,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43포인트(0.33%) 오른 13,262를 나타내고 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2포인트(0.08%) 하락한 3,431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0.1% 상승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가 2.4%, 애플이 1.0%, 아마존닷컴이 1.5%, 마이크로소프트 1.3%, 메타 1.5%, 구글의 알파벳이 2.0%, 넷플릭스가 0.6% 상승하고 있다. 다만 AMD는 0.3% 하락하고 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후에도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현지시간 2일 오후 3시 29분 현재 10년물이 전일보다 0.114%포인트(11.4bp) 오른 4.685%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일보다 0.064%포인트(6.4bp) 상승한 5.110%를 기록하고 있다.
앞서 오전 11시 57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2포인트(0.60%) 하락한 33,305를 기록하고 있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포인트(0.38%) 떨어진 4,271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41포인트(0.32%) 오른 13,261를 나타내고 있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6포인트(0.18%) 상승한 3,440을 기록하고 있었다.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0.8% 상승한 것을 비롯해 엔비디아가 3.0%, 애플이 1.3%, 아마존닷컴이 1.7%, 마이크로소프트 1.1%, 메타 1.4%, 구글의 알파벳이 1.8%, 넷플릭스가 0.8% 상승하고 있었다. 다만 AMD는 0.1% 하락하고 있었다.
미국 국채금리는 이날 오전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현지시간 2일 오전 11시 39분 현재 10년물이 전일보다 0.116%포인트(11.6bp) 오른 4.687%를 나타내고 2년물이 전일보다 0.075%포인트(7.5bp) 상승한 5.121%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에 앞서 현지시간 오전 10시 35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7.03포인트(0.29%) 하락한 33,410.47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9포인트(0.07%) 떨어진 4,284.96을,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62.19포인트(0.47%) 오른 13,281.52를 나타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셧다운 우려가 일시 해소된 가운데, 다시 미국 국채금리와 경제 지표로 관심을 돌렸다.
미국 의회가 연방정부의 내년도 예산처리 시한 종료일인 30일을 몇시간 앞두고 45일간의 임시 예산안을 처리했다. 이에 따라 셧다운 위험은 45일 뒤로 미뤄졌다. 임시예산안은 오는 11월 17일까지 연방 정부 예산을 기존 수준으로 동결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공화당이 반대한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정치적 이슈가 일시 소멸하면서 투자자들은 국채금리 상승에 다시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장 초반 10년물 국채금리는 6bp가량 오른 4.633%를 기록했으며, 2년물 국채금리도 6bp가량 상승한 5.104% 근방에서 거래됐다.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이날 미국 국채 가격이 하락한 것은 셧다운 위험이 사라지면서 연준의 통화정책과 주 후반에 나올 고용 보고서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돌아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빌 애크먼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경제가 둔화하기 시작했으며, 연준의 금리 인상은 아마 끝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애크먼은 또한 장기 금리가 지금과 같은 환경에서는 더 오를 수 있다며 30년물 금리는 5% 중반을 테스트하고, 10년물 금리는 5%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제조업 경기는 위축세를 이어갔으나 직전달과 예상치보다는 모두 개선됐다.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0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48.0을 웃돌았다. 이날 수치는 전달의 47.6보다 개선돼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S&P글로벌이 집계한 9월 제조업 PMI는 49.8로 최종 집계돼 예비치인 48.9와 전달 기록한 47.9를 모두 웃돌았다.
투자자들은 이날 예정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토론도 주시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이날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및 지역 인사들과 함께 지역 경제 성장 및 재개발을 주제로 토론에 나설 예정이다.
자동차 기업들의 3분기 차량 인도 실적도 나왔다. 테슬라는 3분기에 차량 43만5천59대를 인도했다. 이는 2분기에 기록한 46만6천140대보다 줄어든 수준으로 스트리트어카운트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46만1천640대보다 적은 수준이다.
리비안은 3분기에 차량 1만5천564대를 인도해 전분기보다 23% 늘었다고 발표했다. 리비안의 차량 인도 실적은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 예상치 1만4천대를 웃돌았다. 엔비디아 주가는 골드만삭스가 엔비디아를 '강력매수' 목록에 올렸다는 소식에 강하게 오르고 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이 높은 금리가 가져올 역풍과 그에 따른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트레저리 파트너스의 리처드 사페르스테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주가가 금리 상승에 따른 역풍과 더 높은 금리가 성장과 기업 실적에 미칠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그는 "인플레이션을 낮출 정도로 충분히 경기가 둔화하면서도 침체는 피할 것이라는 완벽한 상황을 증시가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며 "시장은 인플레이션, 경제, 금리 등 모든 것이 매우 높은 기대치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