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국제 유가 하마스 신와르 제거했지만 소폭 반등, 천연가스는 5일 연속 하락

기획·연재 / 김완묵 기자 / 2024-10-18 05:51:38
천연가스,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1달러(0.46%) 내린 2.356달러
WTI, 전거래일보다 0.28달러(0.40%) 오른 배럴당 70.67달러에 마쳐
▲미국 뉴욕에서 17일(현지시간) 하마스의 신와르를 제거했지만 전쟁이 끝나지 않았다는 발표에 국제 유가가 상승 마감했다. 사진은 미국 원유 저장 시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에서 17일(현지시간) 국제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은 소폭이지만 방향이 엇갈렸다. 국제 유가는 5거래일 만에 소폭 상승했지만 천연가스 가격은 5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먼저 뉴욕 유가는 닷새 만에 올랐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군사적 긴장이 누그러지는 과정에서 유가도 나흘 연속 떨어졌지만 이날 이스라엘이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위험 프리미엄이 일부 더해졌다는 분석이다. 1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0.28달러(0.40%) 오른 배럴당 70.6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아울러 북해산 원유인 브렌트유는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가격이 전장 대비 0.23달러(0.31%) 오른 배럴당 74.45달러에 마감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최고 정치지도자 야히야 신와르를 제거했다고 발표했다. 신와르는 작년 10월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는 과정을 주도해 이번 전쟁을 촉발한 장본인으로 여겨진다. 이스라엘은 1년여의 추적 끝에 신와르를 제거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가자 지구 주민들이 비로소 하마스의 폭정에서 벗어날 기회가 왔다"면서도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하마스와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를 궤멸시키기 전까지는 군사 행동을 멈출 계획이 없다는 점을 거듭 확인한 것이다.

 

이 같은 흐름에 유가는 일부 반등했다. 이스라엘의 확전은 이란과의 전면전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원유 시장에 여전히 도사리고 있다.

 

라이스태드에너지의 아디티아 사라스왓 중동 연구 총괄은 "이스라엘은 지금까지 이란에 대한 보복을 자제해왔지만, 상황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며 "광범위한 지역 전쟁 시나리오에서 이란과 이스라엘의 갈등은 가스 수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석유 개발 프로젝트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짚었다.

 

앞서 외신은 미국 당국자의 발언을 인용해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시설 대신 군사 시설을 공격할 것이라고 보도했었다. 사라스왓은 "이스라엘이 이란과 전면전을 펼친다면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막고 1200만 배럴의 석유를 위험에 빠뜨리게 할 수 있다"며 "이는 가격 급등 재료"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천연가스 가격은 5일 연속 하락하고 있다. 한국시간 18일 오전 5시 22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1달러(0.46%) 내린 2.356달러를 가리키고 있다. 지난 17일 오전 5시 04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19달러(4.76%) 급락한 2.379달러를 기록하고 있었다. 

 

앞서 16일 오전 4시 40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08달러(0.32%) 내린 2.486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앞서 15일 오전 4시 30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148달러(5.62%) 급락한 2.484달러를 마크하고 있었다. 

 

지난 12일 오전 4시 30분에는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48달러(1.79%) 하락한 2.627달러를 나타내고 있었다. 앞서 11일 오전 5시 31분 현재 11월물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00만 BTU당 전날보다 0.019달러(0.71%) 상승한 2.679달러를 가리키고 있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