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치료 시 주의사항은?

미분류 / 김미진 기자 / 2020-12-02 09:00:00

치아는 평소 바람직한 관리를 진행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상실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도 철저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전에는 치아가 상실되어 기능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일반 틀니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식립 치료를 통해 기능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회복해볼 수 있게 됐다.


이 치료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는 구강구조를 면밀히 확인하며, 상실이 나타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계획을 세워 이를 바탕으로 정교하고 세심한 치료를 진행함으로써 치아 기능성 재건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치료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 번째로, 상황에 알맞은 치료 적용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치료 방법이 존재하는 식립 치료는 상황에 따라 적용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올바른 계획을 통해 바르게 진행할 수 있는 치료를 설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일 이러한 사항을 간과하여 자신의 구강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일반적인 치료를 적용하게 되었다면, 잘 맞지 않게 돼 사용 시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불편함이 지속되어 결국에는 재수술을 통해 기능성을 회복해야 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충분한 잇몸 뼈의 확보다. 식립 치료는 치근을 잇몸 뼈에 고정함으로써 그 고정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고정력이 부족하다면 기능을 수행하는 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잇몸 뼈가 부족한데도 별도의 뼈 재건 과정 없이 무리한 식립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면 흔들리거나 빠지는 등의 원인으로 추가적인 치료가 불가피하므로, 본격적인 식립 치료에 앞서 철저하게 잇몸 뼈의 상태를 점검한 뒤 상황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주의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무엇보다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충분한 실력을 갖춘 곳에서 체계적으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실력을 갖추지 못한 곳에서는 제대로 된 치료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치료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제대로 된 관리를 받기 힘든 경우가 많다.


치아의 상실은 일상생활에서 여러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원인일 뿐만 아니라, 구강 내 건강을 악화시키는 부작용의 주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내 건강을 유지하며 충분히 확보 된 저작력을 바탕으로 불편함 없는 일상생활을 누리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치료 계획을 바탕으로 상황에 알맞은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며, 치료 후에는 철저한 관리 과정을 통해 되찾은 기능성을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움말 : 이종화 행복플란트치과 대표원장]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미진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