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빵·설탕·계란 등 식품 원재료 전방위 조사 확대
‘빵값 6.5%↑’ 소비자 체감 물가 자극…‘빵플레이션’ 진원 겨냥
[소셜밸류=한시은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주요 제분사들의 가격 담합 의혹에 대해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식료품 물가 급등에 대해 지적하며 관계부처에 강도 높은 점검을 주문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대한제분·CJ제일제당·사조동아원·대선제분·삼양사·삼화제분·한탑 등 7개 제분사에 조사관을 파견해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공정위는 이들이 가격 협의나 물량 조율 등을 통해 담합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이번 조사는 최근 이어지고 있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 현상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같은 기간 빵값은 6.5% 뛰며 상승세를 보였다. 2020년 9월과 비교하면 무려 38.5%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16.2%)을 크게 웃돌았다.
앞서 공정위는 설탕·계란 등 제빵 원재료 업계를 대상으로도 잇따라 담합 조사를 벌인 바 있다. 지난해 3월부터 CJ제일제당, 삼양사, 대한제당 등을 상대로 설탕 가격 담합 혐의를 조사해왔다. 이외 계란 가격 담합 여부에 대한 조사도 병행 중이다.
주병기 공정위원장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국제 밀 가격과 국내 밀가루 가격 격차가 최근 4년간 30% 이상 벌어졌다”며 “시장 내부의 구조적 문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재명 대통령 또한 “왜 식료품 물가만 이렇게 많이 오르나”며 “담합 가능성을 포함해 정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비판했다. 공정위는 위법 행위가 확인될 경우 엄정 조치하겠다는 입장이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