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AI 모델 공동 개발 추진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두산이 글로벌 AI 리더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건설기계, 발전기기, 로봇 등 주요 산업 분야의 ‘피지컬 AI(Physical AI)’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선다.
|  | 
| ▲두산 CI 이미지/사진=두산 제공 | 
인공지능을 산업 현장에 접목해 기계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미래형 기술 경쟁에서 선도적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행보다.
두산은 31일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두산의 사업영역에서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를 엔비디아의 AI 기술로 학습시켜, 두산 산업군에 최적화된 맞춤형 AI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Foundation Model)’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파운데이션 모델은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한 AI 신경망으로, 텍스트 번역부터 로보틱스까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이다. 엔비디아의 ‘코스모스(Cosmos)’나 오픈AI의 ‘GPT’ 모델이 대표적이다.
두산은 건설기계, 발전기기, 로봇 등 산업 현장에서 오랜 업력과 시장 점유율을 통해 대규모의 정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이를 AI 학습에 활용하면 각 분야별로 특화된 피지컬 AI 모델을 구축할 수 있어, 제조 효율성 향상은 물론 예측정비, 자율운영, 에너지 최적화 등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엔비디아의 피지컬 AI 모델·시뮬레이션 기술 및 AI 인프라 활용 ▲신기술에 대한 우선 접근권 제공 ▲정기 연구진 교류를 포함한 공동 연구 프로그램 등을 추진한다. 또한 엔비디아의 AI 플랫폼을 국내 산업 전반에 확산시키기 위한 협력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두산 관계자는 “엔비디아는 글로벌 AI 생태계의 중심에 있는 기술 리더”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두산이 보유한 산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피지컬 AI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은 올해 지주부문 내에 ‘AX센터(AX Center)’를 신설해 피지컬 AI 혁신을 전담하고 있다. 또 스탠포드대 ‘휴먼센터드 AI 연구소(HAI)’와 산학 협력 파트너십을 맺으며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도 강화했다. 지난 9월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은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에서 엔비디아, 아마존, 스탠포드대 등 주요 AI 기업 및 연구기관을 방문해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AI 기술 내재화를 위한 글로벌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