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밸류=한시은 기자] 서울시는 오는 28일 예고된 시내버스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본격 가동한다고 26일 밝혔다. 파업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최소 3일 이상 수송대책을 유지하고, 불법 조업 방해 행위에 대한 대응체계도 마련했다.
앞서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조연맹은 오는 27일까지 임금·단체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28일 첫차부터 전국 동시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
▲8일 서울역 앞 버스환승센터 정류장 버스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 |
서울시는 지난달부터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해왔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출퇴근 시간 지하철 운행을 1일 173회 증회하고, 막차 시간도 익일 2시까지 연장한다. 아울러 시내 25개 자치구에서 주요 거점과 지하철역 간 무료 셔틀버스 625대를 투입한다. 셔틀 노선 정보는 서울시 및 각 자치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또 일부 운전기사들이 복귀해 운행할 경우를 대비해 차고지~지하철역을 오가는 임시 셔틀노선도 운영할 예정이다. 이들 노선은 차량 전면에 ‘셔틀버스’ 표시를 부착하고, 전 구간 운행 노선은 정류장 전광판에 도착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요금은 무임 원칙이며, 정상 운행 여부에 따라 징수 여부를 결정한다.
지난해 파업 당시 일부 노조의 조업 방해 사례가 있었던 점을 고려해 올해는 차고지에 공무원을 파견하고 경찰과 협조해 불법행위에 신속 대응할 방침이다. 또 초중고 및 공공기관에 등교·출근 시간을 1시간씩 조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임금협상 시한이 남아 있는 만큼 노사 모두 합리적인 수준에서 원만히 임금협상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이해와 양보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