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개선·내부 관리 강화 요구
![]() |
▲LG엔솔·현대차 로고 이미지/사진=자료 |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자동차가 해외 현장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임직원이 현지 비자 문제로 구금되는 초유의 사태를 겪으면서 글로벌 사업 운영 리스크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행정 절차 소홀에서 비롯된 문제지만,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산업이 각국의 까다로운 규제와 인력 운용 환경 속에서 추진되는 만큼, 양사는 물론 국내 제조업 전반의 교훈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전문가들은 ▲현지 법규와 비자 요건에 대한 사전 검증 시스템 강화 ▲파견 인력 대상 법률·행정 교육 의무화 ▲정부 및 현지 대사관과의 실시간 협력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대규모 해외 공장을 동시에 가동하는 LG엔솔과 현대차의 경우, 단일 국가 이슈가 글로벌 공급망 전체로 파급될 수 있는 만큼, 보다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폴란드·중국 등 다수 국가에서 대형 배터리 공장을 운영 중이며, 현대차 역시 미국·인도네시아·체코 등 글로벌 생산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현지 정부의 인력 관리 규정 위반 시 단순 벌금 수준을 넘어 사업 지연, 기업 이미지 훼손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은 뼈아픈 경고가 됐다.
양사는 재발 방지를 위해 내부 인력 파견 절차를 전면 점검하고, 외부 전문 로펌 및 컨설팅과 협업해 체계적 관리 프로세스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정부 차원의 지원과 산업계 공동 대응을 통해 해외 인력 비자 관련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글로벌 사업 확장의 속도가 빠른 만큼, 인력 이동 문제는 이제 단순 행정 절차가 아닌 전략적 리스크 관리 과제로 다뤄져야 한다”며 “체계적인 예방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으면 언제든 유사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