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SK그룹의 미래 "AI 에너지 솔루션 만든다"

인물·칼럼 / 최성호 기자 / 2024-07-21 14:26:33
"배터리 '캐즘' 현실 인정하지만 관둘 수 없어…미래 성장성 지속"
"대한상의, '대한민국 AI 전략' 정리…정부에 건의 검토"
▲지난 19일 대한상공회의소 제주포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그룹 회장)/사진=연합뉴스제공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최태원 회장은 지난 19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을 계기로 개최한 기자간담회 통해 SK 비젼을 설명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은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을 두고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에너지 문제를 풀 수 있는 회사가 되면 상당히 가능성이 있고, 큰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태원 회장은 "AI에 엄청난 에너지가 들어가는데, 양쪽 에너지 회사가 힘을 합해서 솔루션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며 "향후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전기를 솔루션화하면 상당한 사업이 될 것으로 생각했다"며 합병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쪽(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등을 지니고 있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들어가고, 또 다른 한쪽(SK E&S)은 수소나 발전의 전기 관련 사업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솔루션을 많이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태원 회장은 일시적 수요 정체, 이른바 '캐즘'을 겪는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대한 확신을 드러냈다.

특히 최태원 회장은 "배터리에 캐즘이 생겨서 원래 계획만큼 (사업이) 안 돌아갈 수 있는 확률이 생겼다"며 "그 현실을 인정 안 하려고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했다.

다만 "현실을 인정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여기서 저희가 관둘 수 있지도 않고, 미래로 보면 배터리의 성장성은 계속된다고 본다"며 "단지 지금 주춤하는 상황이지만 계속 잘할 것이니 그때까지 잘 돌아가야 하는 문제도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을 추진한 요인 중 하나인 AI 인프라 확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AI 인프라스트럭처에서 뒤처지면 빅테크나 AI에 관계된 곳은 우리나라를 택하지 않고, 우리는 공동화돼 다른 곳에 종속될 우려가 있다"며 "그렇게 하지 않으려면 AI 데이터센터부터 AI에 관계된 인프라스트럭처를 상당히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 SK그룹 지배현황/사진=연합뉴스제공


아울러 "꼭 엔지니어 형태가 아니더라도 AI 시대에 AI를 이해하고 (AI 관련) 사업을 하려는 'AI 워리어(Warrior·전사)'들이 제대로 일하고 연구할 수 있는 인프라스트럭처를 깔아줘야 한다"며 "그 전사들이 이 시대에 대한민국의 성장을 이끄는 좋은 씨앗이자 묘목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최 회장은 "데이터센터를 만들어서 필요하면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아마존, 구글도 들어와서 데이터센터 일부를 쓰게끔 만들고, 남는 부분은 시민과 학생들에게 AI를 열어줘서 연산 혹은 모델을 만들고 쓸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최 회장은 "AI 데이터센터만으로는 안 되고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며 "대한민국 데이터를 다 모아도 사이즈가 작을 것이고, 다른 나라와 협력해 데이터 규모를 더 크게 만들고 공동으로 이용하는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한상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AI 전략을 정리해 정부에 건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최 회장은 전했다.

최 회장은 "'이런 일을 잘해 나가는 게 대한민국의 AI 전략'이라고 대한상의가 정리해 정부에 건의하고 싶다"며 "정리가 잘 되면 연내에는 보고서를 보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