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밸류=최연돈 기자] 대동이 국내 농기계 품질 경쟁력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대동(공동대표 김준식·원유현)은 29일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2025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조사에서 농기계 부문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대동 트랙터는 5년 연속, 콤바인은 3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품질과 고객 만족도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입증했다.
![]() |
| ▲지난 2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한국품질만족지수(KS-QEI)’ 인증수여식에서 최근영 대동 IMC본부장(왼쪽)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대동 제공 |
한국품질만족지수는 한국표준협회와 한국품질경영학회가 공동 개발한 평가 모델로, 실제 제품 사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품질의 우수성과 만족도를 평가한다. 성능·내구성·안전성 등 ‘사용품질’과 브랜드 이미지·신규성 등 ‘감성품질’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순위를 결정한다.
올해 조사는 6월부터 9월까지 온라인 소비자 조사와 전문가 개별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대동의 트랙터와 콤바인 모두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트랙터는 2021년부터 5년 연속, 콤바인은 2023년부터 3년 연속 정상에 올라 국내 농기계 시장의 대표 브랜드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
대동 트랙터는 내구성과 첨단 기술력으로 국내 농가에서 높은 신뢰를 받아왔다. 2023년 선보인 자율주행 3단계 트랙터는 농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켜 ‘스마트 농업’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동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농기계의 로봇화’를 목표로 기술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내년 3월 출시 예정인 신형 HX 트랙터는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 4단계 AI 시스템을 탑재한다. 비전 AI가 농업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최적의 작업 방식을 판단해 자율작업을 수행하는 미래형 농기계다.
대동 콤바인 역시 정밀성과 안정성을 강화하며 기술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8월 출시된 신형 6조 콤바인 DH6135-A는 수확량 모니터링과 3단계 자율작업 기능을 탑재했으며, 무선 펌웨어 업데이트(FOTA)를 통해 최신 기능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하루 1만 평 수확 시 작업자 운전시간을 약 2시간으로 줄이는 등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켰다.
최근영 대동 그룹 IMC본부장은 “트랙터와 콤바인의 연속 수상은 대동의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시장이 인정한 결과”라며 “AI와 자율주행 등 미래농업 핵심 기술을 발전시켜 농업인의 생산성과 지속가능한 농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