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연 대체 기술로 연 40% 성장 전망
조현상 부회장 “AI와 기술 기반 가치경영 결실”
[소셜밸류=최연돈 기자] HS효성이 글로벌 소재기업 유미코아의 배터리 음극재 자회사를 인수하며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시장 공략에 나선다. 그룹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함께 대한민국의 글로벌 공급망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HS효성 조현상 부회장(왼쪽 네번째)과 유미코아 CEO 바트 삽(왼쪽 세번째)이 벨기에 현지에서 기념촬영을 진행하고 있다./사진=HS효성 제공 |
HS효성은 지난달 31일 1억2천만 유로(약 2천억 원)를 투자해 벨기에 유미코아의 배터리 음극재 자회사 EMM을 인수하고, 유미코아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거래는 각국 당국의 승인을 거쳐 최종 마무리될 예정이다.
유미코아는 100년 이상의 역사와 첨단소재 원천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으로, 배터리와 촉매, 반도체, 방산, 우주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희토류 관련 핵심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과거 퀴리 부인이 라돈과 우라늄 연구를 수행한 연구시설로도 유명하다.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연 대비 에너지 밀도가 최대 10배 이상 높아 전기차 충전시간 단축과 주행거리 향상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차세대 핵심소재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큐와이리서치에 따르면, 실리콘 음극재 시장은 2024년 5억달러에서 연평균 40% 성장해 2031년에는 47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2035년 7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이번 인수를 통해 HS효성이 배터리 소재 외에도 반도체, 화장품, 스페셜티 화학 등 고부가 정밀화학 분야로 사업 확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로보틱스, 드론 등 AI기반 신산업의 급성장으로 고효율 배터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 HS효성이 확보한 실리콘 음극재 기술은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전망이다.
이번 투자는 조현상 부회장이 직접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부회장은 “기술과 지적자산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는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AI·지식재산 기반 사업 확장을 추진해왔다. 그는 코로나 이전부터 유미코아를 직접 방문하며 협상에 나섰고, 최근 APEC 의장 일정 중에도 양사 간 실무 협상을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다.
HS효성그룹은 이번 인수를 계기로 타이어코드, 첨단모빌리티 소재, AI/DX 등 기존 사업에 더해 항공우주, 방산, 에너지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기술 중심의 성장 그룹’으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HS효성은 향후 5년간 1조5천억원을 투자해 대규모 실리콘 음극재 생산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며, 첫 투자처로 울산을 선정했다. 60년 전 효성그룹의 모태가 된 울산공장은 이번 리쇼어링을 통해 고부가 일자리를 창출하고,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분야에서 대한민국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