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대비 90% 폭락...국가 부도 직전까지 강등된 신용도 문제
![]() |
▲ 2월 28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한 행인이 유로와 달러화에 대한 루블화 환율을 표시하는 전광판 앞을 걸어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러시아 정부가 한국을 포함해 비우호국가로 지정한 나라에 대해서는 러시아 기업들이 외화 채무를 루블화(RUB)로 상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8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는 전날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호주, 일본,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 등을 비우호국가로 지정하고, 이들 국가에 채무를 지고 있는 러시아 기업 등은 러시아 통화인 루블화로 채무 이행을 해도 된다는 정부령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관련해 대(對)러시아 제재에 동참한 국가들에 대한 제재 차원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루블화 가치가 폭락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루블화로 채무를 갚겠다는 것은 사실상 '갚지 않겠다'는 뜻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CNN에 따르면 전날 미국 달러당 루블화는 155루블까지 치솟았다. 이로써 루블화 가치는 연초 이후 미국 달러화 대비 90% 폭락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루블화 환율은 우크라이나 침공 전까지 달러당 80루블 아래였으나 서방의 고강도 경제 제재 이후 급락하고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 현지에서 루블화로 주로 거래해온 국내 기업들은 루블화 가치 폭락으로 이미 큰 환 손실을 본 상황에서 달러로 받아야 하는 기존 수출대금까지 루블화로 받게 돼 추가로 피해를 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각에서 이번 조치는 러시아가 사실상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황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자칫 국내 기업들이 아예 수출대금 등을 떼일 가능성도 커졌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러시아 경제의 디폴트 가능성도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등 3대 국제신용평가들은 러시아 신용등급을 '국가부도' 직전까지 강등시켰다.
S&P는 러시아의 달러화 표시 장기국채 등급을 'BB+'에서 일제히 'CCC-'로 낮췄다. CCC-는 원금과 이자 상환 가능성이 의심스러운 수준이다. 국가 부도를 뜻하는 D등급보다 두 단계 위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