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소민영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통해 "미국이 주도하는 신(新)경제 플랫폼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가 9월부터 본격적인 협상에 돌입할 예정인 만큼 적극적으로 국익을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추 부총리는 규범 정립 단계에서부터 우리 입장을 반영함과 동시에 다층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공급망 블록화 등에 대응할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가능하면 8월 중 국회 보고 등 국내 절차를 마무리하고, 9월 IPEF 장관회의를 시작으로 향후 협상 과정에서도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우리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오는 8월 24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하며 한중 외교장관회담 개최 등 양국이 경제협력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는 시기인 만큼, 추 부총리는 "우리의 최대 무역 상대국인 중국과의 경제협력도 활성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급망 재편을 위한 전 세계적 움직임 속에 첨단기술 보호는 각국 경제안보의 핵심과제"라며 "우리 기업 첨단기술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사전예방 지원, 유출시 대응체계 강화, 보호 방안 마련 등으로 경제안보의 기초를 튼튼히 다지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와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 우리 기업의 개발도상국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서 추 부총리는 성장 잠재력이 큰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제2의 베트남·인도네시아·필리핀과 같은 새로운 경제협력 파트너를 발굴,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어 "EDCF의 민간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업 규모를 대형화하고 운용 방식을 다각화해 우리 기업의 개발도상국 사업 진출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