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경남 창원시 현대로템을 방문해 전시장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이덕형기자 |
[소셜밸류=이덕형 기자] 고속철도 입찰에 뛰어든 현대로템이 코레일 전직 고위직을 대거 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1조7,960억원 규모의 EMU-320 고속열차 수주를 앞두고, 평가를 주도했던 인사들을 자문 명목으로 줄줄이 앉혔다.
이는 단순한 퇴직자 채용을 넘어, 국책사업의 공정성과 국민 신뢰를 근본부터 무너뜨린 중대한 사안이다.
퇴직 공무원의 빠른 민간 유입, 입찰 시기와 겹친 급박한 채용, 그리고 정치 브로커 개입 의혹까지—이번 사태는 명백히 정실주의의 구조화를 시사한다.
◇ 고위직 다섯, 입찰 직전 줄줄이 로템行
현대로템은 입찰 전후로 코레일 기술본부 및 전략부서 1급 간부 5명을 ‘자문역’으로 앉혔다.
이들 중 다수는 EMU‑320 고속열차 사업의 기술기준 설정과 심사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인사들이었다. 자문 채용 시점은 입찰 마감 직전 혹은 직후로,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흐름이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절차상 문제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으나, 공직자윤리법의 사각지대를 파고든 전형적인 관문 낙하산이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 명태균 문건… ‘브로커 로비’ 정황까지
앞서 한겨레21 보도에 따르면, 정치권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를 매개로 한 로비 정황까지 포착됐다.
입찰 사전 단계에서 이미 기술평가 기준 완화, 기관장 설득, 대통령실 보고 동향 등의 전략 메모가 존재했다. 이른바 ‘관시(官市) 커넥션’이 입찰 구조 자체에 개입된 것이다.
◇ 기술 경쟁 아닌 ‘전화번호부 전쟁’
공공조달은 실력과 기술, 투명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누가 어떤 부처에 연결돼 있는가가 낙찰 가능성을 결정하는 듯한 구조를 드러냈다.
업계 일각에서는 “기술보다 인맥, 제안보다 전화번호부가 더 중요했다”는 자조가 나오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입찰 문턱조차 넘지 못한 채 탈락했고, 현대로템은 독점적 지위를 재확인했다. 이 같은 구조적 비리는 단지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코레일, 산업부, 수출입은행 등 관련 기관들의 묵인과 방조가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부처에서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정권이 바뀌고 국정 기조가 달라졌기 때문에 ‘현대로템’에 대한 진실 논란과 관련해 사실 규명에 나서야 할것으로 보인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