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침해대응협의회, K방산 기술 탈취 대응에 나서

산업·기업 / 최성호 기자 / 2024-08-01 09:43:14
기술보호 취약 방산 협력사 대상 정부기관별 맞춤형 지원
정책 사업 참여 우대 및 기술보호 시스템 구축 등 제공
▲방산침해대응협의호 로고/자료=현대로템제공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최근 정보기관 군무원의 정보 유출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K방산에 대한 외국의 해킹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관련 기업들이 대응에 나서고 있다.


방산침해대응협의회는 적성국가 또는 경쟁사의 기술 탈취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방산 협력사를 대상으로 기술보호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방산침해대응협의회는 증가하는 방산기술 침해 위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지난해 9월 국가정보원 주도로 결성한 민관 합동 플랫폼이다.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등 국내 주요 방산 체계기업과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방위사업청, 관세청, 국군방첩사령부 등 정부 관계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방위사업청, 국가정보원 등 정부 관계기관들을 중심으로 15개 방산 체계업체와 협력하고 향후 협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방산 핵심 협력사로 선정해 기술보호 지원을 전개한다.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을 통해 보안 관제와 내부정보유출방지, 악성코드, 랜섬웨어 탐지 등 서비스를 먼저 제공할 예정이다.

방위사업청은 기술유출 방지시스템 구축 및 통합보안장비 임차료 지원사업, 사이버보안 취약점 진단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국방기술품질원 방산기술보호센터는 희망 방산업체 및 협력사를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방산 사이버보안 관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방산침해대응협의회는 향후 적극적인 사업 참여를 유도하는 ‘방산 협력사 기술보호 지원제도 소개’ 안내 책자를 제작해 방산 협력사에 배포하는 등 국가 방산 기술 안보를 위해 체계적인 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방산침해대응협의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민관이 합심하여 K-방산 위상 저해 요인을 선제 발굴하고 방산기술 유출 근절을 위한 근본 대책 마련에 앞장서는 등 방산침해 조기경보 체계 구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