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로봇·무선공구·검사장비에 활용…NWC에서 공개·공장에 순차적용
![]() |
▲현대차-삼성전자,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사진=현대차기아 제공 |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현대차와 삼성전자가 5G 특화망에 기반한 스마트 제조 솔루션를 구축한다.
현대차는 올해 1월부터 삼성전자와 함께 진행한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개발을 마치고, 내달 3일 스페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ㆍ전자 박람회 'MWC25 바르셀로나'에 전시한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차는 올해 1월부터 삼성전자의 전용 기지국과 통합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5G 특화망 레드캡 인프라 설비를 바탕으로 공장 장비와의 통신 성능 검증을 마쳤다.
5G 특화망은 특정 구역 내 통신을 위해 기지국을 설치하고, 통신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는 전용 통신 체계다. 외부 인터넷ㆍ모바일 사용자와 통신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5G 특화망 운영은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력, 높은 전력 사용량이 필요하다.
앞서 현대차는 완성차 무인 자율 검사 장비인 'D 스캔'에 퀄컴의 SDX35 칩셋을 탑재했고, 이는 삼성전자의 5G 특화망 인프라와 연동돼 고용량의 차량 품질검사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게 됐다.
![]() |
▲현대차-삼성전자,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사진=현대차 기아 제공 |
현대차와 삼성전자는 내달 3∼6일 'MWC25 바로셀로나'에서 삼성전자 전시 부스 내에 특별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양산차 제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5G 특화망 레드캡 통신 체계를 공개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2026년 상반기 가동이 목표인 울산 EV(전기차) 전용 공장에도 5G 특화망 도입할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국내 업체 중 최초로 5G 특화망을 구축해 양산 적용했고, 나아가 제조 분야 업계 최초로 5G 특화망 레드캡 기술 실증에 성공했다"며 "상용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