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노란봉투법, 韓사업 재평가 불가피"…철수설 재점화

자동차·기계 / 최성호 기자 / 2025-08-24 08:27:37
▲권창준 차관 만난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대표(왼쪽)/사진=노동부 제공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찬반 공방이 치열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을 두고 한국GM이 정부 측에 강력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한국 내 사업장 재평가 가능성까지 언급돼 최근 불거진 철수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24일 자동차업계와 노조에 따르면, 한국GM 헥터 비자레알 대표는 지난 21일 고용노동부가 마련한 간담회에서 “한국은 이미 노사 리스크가 큰 국가”라며 “노란봉투법이 시행되면 본사 차원에서 한국사업장의 존속 여부를 재평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강력히 재고를 요청한다”고 거듭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간담회에는 권창준 노동부 차관을 비롯해 이희근 포스코 대표, 서강현 현대제철 대표, 노진율 HD현대중공업 대표, 한화오션 정인섭 사장, 기아 최준영 대표 등 주요 산업계 CEO들이 참석했다. 

 

다른 기업 대표들이 경영 부담을 호소한 데 비해, 한국GM은 법안 자체의 재검토를 거듭 요구하며 한층 강경한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부는 “통상적으로 기업들이 우려를 표하는 자리였고, 의견을 교환한 수준”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지만, 업계에서는 한국GM의 발언이 사실상 ‘철수 가능성’을 간접 시사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GM 철수설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모기업인 미국 GM은 이미 호주(2013년), 인도네시아·태국(2015년), 유럽·인도(2017년) 등에서 잇따라 철수한 바 있다. 

 

한국의 경우 2018년 정부와 정치권이 공적자금 8,100억원을 투입해 10년간 사업 유지에 합의하며 철수를 가까스로 막았다. 그러나 그 직후 군산공장 폐쇄, 생산시설 매각 등 사업 축소를 이어왔고, 약속된 10년 시한도 불과 2년여 남지 않았다.

최근 미국의 한국산 차량 관세 부과, 직영 서비스센터 매각 계획, 현대차그룹과의 공동개발 강화, 한국GM 노조의 임단협 난항 등 악재가 겹치면서 철수설은 여전히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GM은 이미 2018년 당시 노사 불안을 이유로 철수를 검토했고, 정부 지원으로 가까스로 남았다”며 “노란봉투법 통과로 노사 리스크가 더 커진다면 한국GM의 미래가 밝지 않다”고 지적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