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1년, 자사주 취득·소각 ‘사상 최대’에도 저평가는 여전

금융·증권 / 최성호 기자 / 2025-05-06 07:37:53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지난 5월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2차 세미나에 앞서 인사말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최성호 기자] 정부의 기업가치 제고 가이드라인(이하 밸류업)이 시행된 지 1년이 되는 가운데, 상장사들의 자사주 취득·소각 규모가 사상 처음으로 각각 20조원 안팎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기업들의 주주환원 강화와 공시 참여는 확대됐지만, 상장사 다수는 여전히 저평가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2분기부터 올 1분기까지 1년간 상장사 자사주 취득 공시 금액은 22조9천억원, 자사주 소각 금액은 19조6천억원에 달했다. 이 같은 수치는 과거 연평균 4조~8조원 수준을 크게 웃도는 규모로, 밸류업 도입 이후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움직임이 급속히 확산된 결과로 해석된다.

밸류업 공시 참여 기업도 빠르게 증가했다. 지난해 2분기 3개사에서 출발한 본공시 참여 기업은 4분기 80개사까지 급증했고, 올해도 1분기 31개사, 2분기 현재 18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미만인 저평가 기업은 812개 중 565개(69.6%)에 달해 오히려 1년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이 여전히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국제 금융시장에서도 한국 증시의 입지는 약화되고 있다. MSCI 한국지수의 편입 종목 수는 1년 새 99개에서 81개로 감소, 지수 내 한국 비중도 9% 밑으로 떨어졌다. MSCI 신흥국 지수 내 한국 위상은 대만·인도에 밀려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 같은 단기 정책 외에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법제도 개편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상법 개정, 이사 충실의무 확대, 주주 권한 강화 등이 동반돼야 기업의 체질 개선과 실질적인 가치 재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메리츠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단기 이벤트성 주주환원으로는 구조적 저평가 해소가 어렵다"며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과 제도 개혁 없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근본적 해결은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