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앞섰다는
소식에 '트럼프 트레이드'는 삐걱
![]() |
▲사진은 뉴욕증시 입회장에서 일하는 트레이더들의 모습/연합뉴스 제공 |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는 국채금리가 하락하는 가운데서도 오후 들어 3대 지수가 모두 하락 전환하며 마감했다. 오전에만 해도 3대 지수가 모두 상승세를 보인 바 있다.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주요 기업들의 2분기 실적 발표와 대선 구도 변화 가능성 및 신규 경제 지표를 주시했다.
암호화폐 이더리움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최종 승인을 얻은 지 하루 만에 시장에 데뷔하며 첫 거래를 시작했다.
2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57.35포인트(0.14%) 하락한 40,358.09를 기록하며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8.67포인트(0.16%) 하락한 5,555.74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0.22포인트(0.06%) 내린 17,997.35를 나타내며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79.93포인트(1.46%) 하락한 5,397.90을 가리키며 장을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아마존닷컴이 2.1% 상승한 것을 비롯해 애플 0.4%, 마이크로소프트 0.4%, 메타 0.2%, 구글의 알파벳 0.07%, ARM이 4.9%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에 비해 테슬라는 2.0%, 엔비디아 0.7%, AMD가 1.2%, 코인베이스 2.8%, 넷플릭스가 0.7% 하락하며 마감했다.
이날 미국 국채금리는 오후에도 소폭 하락하고 있다. 현지시간 오후 4시 08분 현재 10년물이 전날보다 0.009%포인트(0.9bp) 하락한 4.251%를 가리키고 2년물이 전날보다 0.030%포인트(3.0bp) 내린 4.493%를 나타내고 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증시는 2분기 실적 발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거대 기술기업 실적에 대한 경계감으로 주가지수가 좁게 오르내렸다는 분석이다.
이번 주부터 뉴욕증시에선 주요 빅테크의 실적이 공개된다. 이날 장 마감 후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과 테슬라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경계감 속에 주가지수는 큰 폭의 움직임을 보이지 못했다.
장 마감 후 발표된 실적에서 알파벳은 매출과 주당순이익(EPS)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2분기 주당순이익(EPS)은 1.89달러, 매출도 847억4천만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치를 모두 웃돌았다.
알파벳은 검색과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다만 유튜브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넘게 증가했음에도 시장 예상치에는 미치지 못했다. 전반적인 호실적에 알파벳은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2.5% 상승하고 있다.
반면 테슬라는 2분기 자동차 매출이 전년 대비 7% 감소한 198억7천800만달러였고 EPS는 52센트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실망스러운 실적에 테슬라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3% 넘게 밀리고 있다.
주요 기술기업 주가는 대체로 강세를 보였다. 아마존은 2% 넘게 상승했다. 세계 최대 포장물 배송업체 UPS는 예상치를 밑도는 2분기 실적을 내놓고 올해 가이던스도 하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12% 이상 급락했다. 미국 자동차 기업 GM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에도 주가는 6% 넘게 하락했다.
글로벌 통신·미디어기업 컴캐스트는 예상에 부합한 EPS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예상에 못 미쳐 주가가 2%가량 밀렸다.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업체 스포티파이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시장 예상을 웃돌며 주가가 전일 대비 12% 가까이 뛰었다.
가상화폐 이더리움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는 이날부터 뉴욕증시에서 거래가 시작됐다. 총 9개의 이더리움 현물 ETF가 이날 상장됐다. 하지만 이더리움 현물 ETF의 거래가 시작됐음에도 이더리움 가격은 오히려 약보합을 보였다. 현물 ETF 상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더리움 가격은 올해 들어서만 50% 넘게 상승했지만, 최근 들어선 '뉴스에 파는' 흐름이다.
미국 대선 시계는 흐려지고 있다.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여론조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을 앞섰다는 소식에 '트럼프 트레이드'는 삐걱대고 있다. 해리스는 사실상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로 낙점되는 흐름이다.
로이터통신이 여론조사업체 입소스와 공동으로 1천18명의 등록 유권자를 대상으로 전날부터 이날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양자 가상대결에서 해리스는 지지율 44%를 기록해 42%인 트럼프를 오차범위(±3%포인트) 내에서 앞섰다. 제3 후보까지 포함한 다자 가상대결에서는 해리스가 42%, 트럼프는 38%, 무소속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후보가 8%를 기록해 해리스에게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미국의 기존주택 판매량은 급속히 둔화했다. 다만 기존주택 가격은 역대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에 따르면 6월 미국 기존주택 판매(계절조정치)는 전월 대비 5.4% 감소한 연율 389만채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재료와 금융, 임의소비재만 소폭 올랐고 나머지 업종은 모두 내렸다. 에너지 업종이 1.55% 하락했으며 유틸리티도 낙폭이 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이날 마감 무렵 9월 금리 인하 확률을 96.1%로 반영했다. 12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25bp씩 3회 인하할 확률은 46.6%를 기록해 전일 대비 소폭 상승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