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다시 패닉...아마존 14% 폭락에 나스닥 4% 급락...애플-인텔도 급락

뉴스 / 김완묵 기자 / 2022-04-30 06:21:45
아마존, 1분기 실적 적자 전환 소식에 대형 기술주들 줄줄이 급락
나스닥 4월에만 13% 이상 하락해 2008년 10월 이후 최대 하락률
다음주 미국 금리 인상-양적긴축 발표 예상...중국 봉쇄조치도 상황 악화 불러

▲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처리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증시의 반등세는 하루 천하에 불과했다. 전날 3% 넘게 급등했던 나스닥 지수는 4% 이상 급락하며 또다시 패닉장세를 나타냈다.  

 

이날 미국 증시는 애플과 아마존의 실적에 투자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해당 기업의 주가가 급락한 여파로 크게 밀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나스닥지수는 4월에만 13% 이상 하락해 2008년 10월 이후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날은 1분기 실적이 적자로 전환한 아마존 주가가 14% 이상 폭락하며 시장 전체를 뒤흔들었다.

 

30일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2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39.18포인트(2.77%) 하락한 32,977.21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5.57포인트(3.63%) 밀린 4,131.93으로 마감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536.89포인트(4.17%) 떨어진 12,334.64로 장을 마감했다. 또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날보다 136.62포인트(4.47%) 급락하며 2,919.74로 장을 마쳤다.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종가 기준 올해 들어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나스닥지수는 4월 한 달간 13.3%가량 하락해 2008년 10월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S&P500지수와 다우지수는 한 달간 각각 8.8%, 4.9% 밀려 모두 2020년 3월 이후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대형 기술 기업들의 실적과 물가 지표 등을 주시했다. 아마존은 7년 만에 처음으로 분기 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혀 주가가 14% 이상 폭락했다. 아마존의 주가 하락률은 2006년 7월 이후 최대다. 

 

시가총액 3위 종목인 아마존의 주가가 큰 폭 하락하면서 지수 전체가 밀렸다. 팬데믹 이후 경제 재개로 온라인 쇼핑이 정체된 데다 영업비용은 매출 대비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2분기 매출 전망치도 예상치를 밑돌았다. 여기에 인플레이션 우려에 공급망 차질 문제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비용 압박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애플 역시 시장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애플은 예상치를 웃도는 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나 회사가 공급망 차질로 2분기 40억~80억 달러가량의 매출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중국이 최근 들어 코로나19 봉쇄 조치를 강화하고 있는 데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도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공급망 차질 문제는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전망이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반도체 부족 사태가 당초 예상했던 2023년이 아닌 2024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애플과 인텔의 주가는 각각 3%, 7%가량 떨어졌다. 마이크로소프트도 4% 이상 하락했고 알파벳, 엔비디아 등도 각각 3%, 6% 이상 떨어지면서 나스닥지수는 크게 밀렸다. 

 

다만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 인수를 위해 이번 주 84억 달러어치의 테슬라 주식을 매각한 이후 추가 매각 계획이 없다고 언급하면서 장중 크게 반등했다가 시장 약세에 0.7%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이날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올해 경기침체 가능성이 있다며 S&P500지수 목표치를 기존 4,600에서 4,500으로 하향 조정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는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3월 PCE 가격 지수는 지난해보다 6.6% 상승해 전달 기록한 6.3% 상승을 웃돌았다. 이날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예상치인 6.4% 상승도 웃돈 것이다.

 

다만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 지수는 월가 예상치를 소폭 밑돌며 상승세가 다소 주춤한 모습을 나타냈다. 3월 근원 PCE 가격 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상승해 전달 기록한 5.3% 상승을 밑돌았으며 WSJ 전문가 예상치인 5.3% 상승도 밑돌았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장중 9bp(=0.09%포인트) 이상 올라 2.92%까지 상승했으며 2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12bp(=0.12%포인트) 이상 올라 2.75%까지 상승했다.

 

연준은 다음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하고,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양적긴축(QT)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회의에서 연준의 6월 긴축 강도를 가늠할 신호를 찾으려 할 것으로 보인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현 시장의 조정 장세가 예상보다 더 심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중국의 봉쇄 조치로 인해 공급망 문제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며 중국 상황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경우 시장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마켓필드 에셋 매니지먼트의 마이클 샤울 회장은 CNBC에 "2020년 3월에는 가파른 하락세 뒤에 빠른 반등이 나왔지만, 지금의 사태는 투자자들에게 2021년 랠리 동안 쌓았던 것에 오랫동안 손실을 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기존 시장 주도주를 넘어 꾸준히 종목을 확대하며 '서서히 진행되는 약세장'으로 보는 것이 최선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