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금리 급락하며 미국 증시 수직 반전...나스닥 1.7% 오르고 다우 소폭 하락

경제 / 김완묵 기자 / 2022-07-06 05:59:33
10년물 국채금리는 2.82% 수준에서 거래
2년물 국채금리는 2.83% 수준을 나타내며 금리역전 현상
유로화 가치, 달러화에 대해 20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

▲ 미국 증시가 5일(현지시간) 극적인 반전을 이뤄냈다. 사진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앞 월스트리트 거리 표지판/연합뉴스 제공

 

[소셜밸류=김완묵 기자] 미국 뉴욕증시가 5일(현지시간) 극적인 반전을 이루며 장 후반 수직으로 회복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하지만 독립기념일 연휴 후 첫 거래일에서 미국 증시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 속에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다는 평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9.44포인트(0.42%) 하락한 30,967.82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06포인트(0.16%) 오른 3,831.39로 마감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94.39포인트(1.75%) 뛴 11,322.24로 장을 마쳤다. 게다가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장보다 19.19포인트(0.78%) 상승한 2,477.64에 장을 마쳤다.

 

개별 종목으로는 애플이 1.8%, 마이크로소프트 1.2%, 아마존닷컴 3.6%, 구글의 알파벳 4.1%, 테슬라 2.5%, 메타 5.1%, 엔비디아가 3.0% 상승하며 마감했다. 

 

이날 S&P500지수는 장 초반 2% 이상 하락했다가 결국 강보합세로 장을 마쳤고, 나스닥지수도 장 초반 2% 가까이 하락했다가 1% 이상 반등하며 마감하는 극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외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미국 증시의 투자자들은 경기침체 우려와 그에 따른 국채금리 하락세 등을 주목했다.

 

이날 채권시장에서는 2년물 국채금리와 10년물 채권금리가 역전돼 경기 침체 우려가 더욱 커졌다. 통상 장기물 금리가 단기물 금리를 웃도는 것이 정상이지만, 단기물 금리가 장기물 금리를 웃돌 경우 시장에서는 이를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한다.

 

지난 주 후반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이 추적하는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나우 모델에 따르면 미국의 2분기 GDP 성장률 추정치는 마이너스(-)2.1%까지 떨어졌다.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들이 지속되면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2.82% 수준에서 거래됐다. 같은 시간 2년물 국채금리는 2.83% 수준을 나타냈다.

 

가파른 금리 하락은 채권 시장이 경기 침체 우려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경기 침체 우려로 안전자산인 국채와 달러로 관심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노무라는 미국과 유로존, 영국, 일본, 한국, 호주, 캐나다 등 전 세계 주요국들이 12개월 이내 경기침체에 들어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 국가의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통화 긴축에 나서면서 침체 위험이 크게 높아졌다는 것이다.

 

유로화 가치는 침체 우려에 이날 달러화에 대해 20년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유로존 최대 경제국인 독일이 5월에 31년만에 첫 무역적자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유로존 경제에 대한 우려를 더욱 부추겼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되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과 주 후반 나오는 6월 고용보고서를 주목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6월 비농업 고용이 25만명 증가해 전달 기록한 39만 명 증가에서 크게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업률은 3.6%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비해 미국이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됐다. 전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번 주 일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 인하를 발표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후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과 류허 중국 부총리가 영상 통화를 나눴다는 소식도 나왔다.

 

크레디트스위스(CS)는 S&P500지수 연말 목표치를 기존 4,900에서 4,300으로 내렸다. 새로운 목표가는 현재보다 12.4% 높은 수준이다. CS는 경제 성장세가 "의미 있는 수준의 둔화"를 겪고 있지만, 침체의 조건을 충족하지는 않았다고 판단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7월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83.2%로 전장의 86.2%에서 소폭 하락했다.

[ⓒ 사회가치 공유 언론-소셜밸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